1. 새마을운동
광복 이후 우리 지역의 건설은 광복과 6.25한국전쟁 등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인 혼란으로 건설다운 건설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후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들어와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과 새마을운동에 따라 지역의 건설이 하나 둘씩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1970년대에 들어서 일기 시작한 새마을운동은 수천년 동안 변화없이 이어져 내려오던 우리 지역의 전부분을 변모시킬 정도로 우리에게 엄청난 변화를 가져다 준 일대 물질적, 정신적 충격이었다. |
2. 새마을운동의 전개
1) 새마을운동의 전개과정 1970년 4월 22일 고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제창·출범되어 거의 한 세대의 기간에 걸쳐 중단없이 지속되어온 새마을운동은 그 동안 많은 변화와 굴곡을 경험하면서 발전되어 왔다. |
2) 새마을운동의 단계별 전개실적 (1) 기반조성단계 (1970 ∼ 1973) 1970년 4월 22일 새마을운동이 정부 주도 아래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제일 먼저 시작된 사업이 전국적인 ‘마을 가꾸기’ 사업이었다. 정부는 초기의 실험적 기간에 ‘10대 가꾸기 사업’ 실시지침을 정하고, 이를 전국 시·군에 시달하고, 전국 3만 5천여개의 마을을 대상으로 마을마다 335포대의 시멘트를 무상으로 지원하여 마을별로 필요한 사업을 추진하도록 함으로써 먼저 생활환경개선을 통한 ‘마을 가꾸기’ 사업을 전개하였다. 이 때 마을별로 남녀 새마을지도자 각 1명씩을 선출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주민들과 함께 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토록 하였다. |
개혁사업이었는데, 환경개선사업은 마을 및 주택의 생활시설을 보다 편리하게 만들기 위한 사업으로서 마을 안길의 확장과 포장, 공동빨래터 설치, 지붕, 담장, 부엌, 변소개량 등에 그 역점을 두었다. 소득증대사업은 주로 농업소득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으로서 농로확장, 농지개량, 종자개량, 품앗이 장려 등이 주가 되었으며, 의식개혁사업은 국민의 불건전한 의식과 생활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퇴폐풍조 일소, 근검절약생활 실천, 협동분위기 조성 등에 역점을 두어 추진하였다.
이 시기의 영덕군의 새마을사업은 새마을운동의 본격적인 출발을 위한 기반조성기라고 할 수 있으며, 1974년 이후를 자조발전기로 볼 수 있다. 1971년 새마을 가꾸기 사업에 있어서는 리동 개발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마을 숙원사업을 주민들 스스로의 노력에 의하여 추진되도록 했으며 다음 10가지 사업 중에서 마을 실정에 맞도록 선정하도록 하였다. |
|
이러한 사업추진은 환경개선, 정신계발, 생산소득 증대운동으로 단계적인 발전과 성취가 되도록 지도 전개하도록 했으며, 이 과정에서 새마을운동의 기반이 다져지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이런 과정에서 새마을운동은 더욱 내실화, 토착화를 가져 왔으며, 나아가 영속화를 시킬 수 있는 힘을 주게 되었으며, 범군민적 참여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그 예로 1972년도에는 각 리동에 시맨트 50포대와 철근 7톤 식을 배정하여 마을 환경을 정비하도록 조치를 하였다.
(2) 사업확산단계 (1974 ∼ 1976) 1974년부터 1976년까지의 3년간은 새마을운동이 우리나라의 국민운동에 있어서 그 위치를 확립하는 단계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들어와서는 새마을운동의 이념과 활동이 농촌에서 도시로, 그리고 사무실과 생산현장인 공장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그 사업의 영역과 대상도 점차 확대되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역 및 직장 단위의 새마을운동 조직과 인력이 확장되고 증가하였으며 정부의 재정적 보조와 융자지원도 늘어났던 것이다. |
|
이와 같은 기본과제에 입각하여 새마을운동이 보다 영속화되고 생활화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에 역점을 두는 한편, 모든 사업이 생산과 소득에 직결되도록 실천되게 함으로서 잘 살기 운동으로서의 내실을 갖추어 가도록 하였다. 또한 국민들에게 새마을운동을 교육의 중심 이념으로 하여 새마을 인간상을 정립하는 한편, 대대적인 농어촌 새마을운동을 전개하여 범국민적인 새마을운동의 저변을 확대하고 선도적 새마을운동을 전개하여 주민에 대한 종합적인 시범교육화 하도록 하였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모든 것이 오직 마을 사람들의 총의에 의하여 자발적이고 자조능력에 맞도록 지도하였다.
(3) 효과심화단계 (1977∼1979) 세번째 단계인 1977년부터 1979년까지의 3년간은 새마을운동의 효과를 한층 더 제고하고, 그 뿌리를 더욱 튼튼하게 만들었던 시기였다. 마을 단위로 소규모 사업만을 추진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지역과 사업의 규모를 확대하여 사업의 경제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또한 도시와 농촌을 연계시킴으로써 새마을운동의 광역화를 도모하고 도농간의 일체화를 기하고자 하였다. (4) 체제정비단계 (1980∼1989)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로 말미암은 정치·사회적 혼란을 거쳐 제5공화국과 제6공화국에 이르는 80년대에 있어서의 새마을운동은 가장 어려웠던 변혁과 침체의 역경을 경험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는 정부 주도로 추진해 오던 70년대의 새마을운동이 8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간 주도체제로 전환한 시기였다. (5) 자율확대단계 (1990∼현재) 새마을운동은 90년대에 들어와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국제적인 개방화와 국내적인 지방화의 물결에 부응하는 한편 조금씩 어려워지기 시작한 경제발전을 촉진하고 무질서와 비윤리적 풍조로 흐르는 사회기강을 바로 잡아야 할 시대적 과제에 직면하였던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