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산면은 본래 영덕현의 서쪽에 있다고 하여 조선시대에는 서면(西面)이라 하였다.
  •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에는 영덕현의 서면은 재궁리(在宮里 : 대지2리), 대지곡리(大枝谷里 : 대지1리), 광삼리(光三里:흥기리), 용천리(龍泉里 : 용평리), 산하리(山下里 : 매일1리), 궁기리(宮基里 : 흥기3리), 마산리(馬山里 : 옥산리), 주방리(走防里 : 주응리), 서점리(西店里 : 매일리), 일이동리(日伊洞里 : 매일2리), 주산리(走山里 : 봉산리), 상오등리(上烏等里 : 인곡리), 입암리(笠巖里 : 용전리), 하오등리(下烏等里 : 인곡리)등 14개 마을로 구성되어있다.
  • 1899년의 「경상북도영덕군읍지」에 의하면 재궁(才宮), 상대(上大), 하대(下大), 중평(中坪), 용천(龍泉), 일이(日伊), 서점(西店), 가구(加邱), 상마(上馬), 하마(下馬), 수구(水口), 상오(上烏), 하오(下烏), 중오(中烏), 고마(高滿), 상립(上笠), 하립(下笠), 관암(冠巖), 덕계(德溪), 청련(淸蓮), 봉동(俸洞), 굴암(窟巖), 산성(山城), 주산(走山)등으로 31개의 리로 구성되어있다.
  • 갑오경장 이후 일제 강점기의 통폐합 때까지 영덕군의 서면으로써 그 역할을 담당하여 오다가 1914년 3월의 부군면 통폐합 때에 당시의 청하군 죽북면의 해월리와 북면의 식율리의 일부를 편입하여 대지동(大枝洞: 재궁, 상대, 하대), 매일동(梅日洞: 일이, 서점, 산하), 용평동(龍坪洞: 용천,중평), 용전동(龍田洞:상립암, 관암, 하립암), 흥기동(興基洞: 광산, 궁기, 오봉), 덕산동(德山洞: 덕계, 청련), 옥산동(玉山洞: 상마, 하마, 수구, 해월), 봉산동(鳳山洞: 봉동, 굴암, 산성, 주산), 주응동(周鷹洞: 주방, 상응, 중응, 가구), 인곡동(仁谷洞: 상오, 하오, 중오, 고만)의 10개 동으로 개편하면서 달산면으로 변경하였다.
  • 1983년 2월 15일에 대통령령 제11027호에 의하여 포항시 북구 죽장면 하옥리 일부를 편입하여 옥계리로 하고, 1988년 5월 1일에는 군조례 제972호에 의해 동을 리로 개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