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 질
지질이란 지각을 구성하고 있는 암석과 암석의 분포, 그리고 이들 암석이 지각변동에 의하여 굴곡되거나 절단되었을 때의 지각의 구조 및 지각의 역사를 총칭하는 용어이다. |
1) 영덕읍
영덕읍은 대부리에서 석리에 이르는 해안쪽과 화수리·화개리·남석리·덕곡리에 이르는 일부 지역은 백악기의 불국사통인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구미리 등의 일부 지역은 오천동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2) 강구면 강구면은 삼사리에서 강구리·금진리·하저리를 지나는 해안쪽은 백악기의 불국사통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금호리와 상직리·원직리 주변은 신라통의 오천동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3) 남정면 남정면의 지질 구성은 쥬라기에 형성된 장사리 화강암층이 양성리와 장사리의 일부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구계리와 남호리의 일부에는 쥬라기에 형성된 섬록암층이 존재하고 있다. 4) 달산면 달산면은 신라통의 신양동층으로 이루어진 흥기리·용평리·매일리 지역과 불국사통의 석영반암층으로 이루어진 주응리 주변을 제외하고는 봉산과 용덕을 이어주는 지역은 백악기의 적색사암층으로 적색사암·세일·알코스질사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지품면 지품면 중의 송천리·지품리 등의 청송과 접하는 지역은 백악기의 적색사암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삿갓봉 주변의 신양리 부근은 신라통의 신양동층으로 흑색질암·회색사암·역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6) 축산면 축산면은 경정리 일부 지역만이 경정동층의 암회색질암·사암 및 역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의 지역은 대부분 신라통의 오천동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7) 영해면 영해면은 괴시리 뒷편과 대진리·사진리 주변은 시대 미상의 편상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해평야는 제4계 현세통의 신기하성층인 니토·점토·사(砂) 및 역(礫)으로 이루어진 지질 구성을 가지고 있다. 8) 병곡면 병곡면은 크게 신생대 제3계 지질구조를 가지는 영동층으로 형성된 질암·사암·역암으로 이루어진 병곡리·영리 지역이 있으며, 영해력암층의 점토·사암 및 역암의 지질구조를 가지는 거무역리 지역이 있다. |
9) 창수면 창수면의 지질구조는 형제봉에서 운서산, 그리고 인량에 이르는 지역은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리와 인천리를 경계로 북쪽지역은 오천동층의 자색질암, 자색사암 및 역암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
2. 토 양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 및 유기물이 혼합된 자연체로 인간과 가장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유기체이다. 1) 하해혼성평탄지 하해혼성평탄지의 토양군을 해안평탄지라고도 하며 주로 대·소하천의 하류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영덕지역은 오십천·송천 및 소하천의 하류에 주로 존재한다. |
이들 지역의 토양은 암회색의 사양토와 염류토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질 내지 식질 토양에 의하여 대부분이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2) 하성평탄지 하성평탄지는 하천이 범람하여 전개된 토양군으로 대·소하천의 범람지에 분포하고 있다. 영덕지역은 오십천·송천 및 소하천의 본류의 범람지에 존재한다. 3) 곡간 및 선상지 곡간 및 선상지는 곡간충적층으로 상부로부터 운반 퇴적된 토양으로 비교적 운반거리가 짧고 지형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곳에 형성된 토양군이다. 암회갈색의 미사질 양토 및 적갈색의 자갈이 있는 미사질 양토로 보통 농경지로 이용된다. 4) 구릉지·산지·고산지 해발 300m 이하의 경사 30% 미만을 대개 저구릉지라 하고 그 이상을 구릉 및 산악지로 분류하는 것이 보통이다. 저구릉지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 잔적물을 모재로 하여 생성된 토양이 대부분이다. 해발고도가 비교적 높은 지역의 구릉지와 산지는 급경사 지역으로 토양유실이 많으며, 또한 침식에 의하여 유효토심이 얕으며, 화강편마암 잔적층으로 암황갈색·담황갈색의 자갈이 많은 사력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영덕지역 산지의 대부분은 이에 속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