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야성시사(野城詩社)

1) 연혁 및 사원 명단

  해방 후 초대 영덕군수를 지낸 영덕 출신인 정기모(鄭基模)씨가 회장인 ‘야성시사’는 그야말로 현대 영덕 한시부문 단체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회원들 가운데는 전국 백일장으로 대통령상을 수상한 장두병(張斗柄), 윤병문(尹秉文), 김원숙(金元淑)씨를 비롯하여 유림회, 신라문화제 등 전국 규모의 백일장에 입상한 분들이 많았다.
   1962년 3월에 결사가 되어 매년 음력 3월 3일 삼짓날과 국화 향기 그윽한 음력 9월 9일 중양절을 택하여 군내외 거주하고 있는 사원들이 모여 정담을 나누고 한시(漢詩)를 짓고 읊으며 후배를 양성하는데 진력하고 있으나, 현재에 들어와서는 그 명맥이 약해져 가고 있어 안타깝다. 다음은 1981년도 이전과 1981년도 야성시사 사원, 2000년도 사원의 명단이다.

〈1981년도 이전 야성시사원(野城詩社員) 명단(名單)〉

문명기, 김영하, 정계만, 김형두, 정원석, 정기모, 유석기, 주세정, 김갑록, 윤형래,
권재기, 백대은, 강대희, 조형운, 최병옥, 전진옥, 장두병, 이윤우, 강계창, 권녕재,
최우진, 이상인, 유봉구, 김영규, 이종환, 박석윤, 신수원, 이동인, 김병을, 박병규,
유석엽, 김수영, 이동석, 김원숙, 홍예표, 김재옥, 신득휴, 김재철, 최윤기, 최기오,
신병 준, 윤병문, 신덕주, 박종영

〈1981년도 야성시사원(野城詩社員) 명단(名單)〉

사 장(社長) : 정기모(鄭基模)
간 사(幹事) : 김원숙(金元淑)
시 원(詩員) : 유석기(劉石基), 주세정(朱世正), 최병옥(崔秉玉), 윤병문(尹秉文),
                  유석엽(劉石燁), 홍예표(洪禮杓), 김석기(金錫基), 김병을(金炳乙),
                  박병규(朴丙奎), 이흡인(李翕寅), 윤형래(尹炯來), 이동석(李東錫),
                  김재철(金在澈), 김길수(金吉洙), 최윤기(崔潤基), 신홍기(申洪基),
                  임동욱(林東昱), 김효규(金孝圭), 김우영(金羽英), 김형원(金炯遠),
                  이명룡(李明龍), 윤병국(尹秉國), 이계종(李桂鍾), 윤덕규(尹德奎),
                  박재후(朴載厚), 김해주(金海周), 김중배(金重培), 김목석(金穆錫),
                  김시찬(金時燦), 김해수(金海壽), 박원근(朴元根).

〈2000년도 야성시사원(野城詩社員) 명단(名單)〉

사 장 : 최윤기
간 사 : 박노활
시 원 : 홍예표, 최병옥, 신헌기, 김헌곤, 신홍기, 김효규, 조희원, 황정구, 윤중홍,
             신종균, 권기달, 김호경, 김태규

2) 사원들의 작품
(1) 천재 장두병의 추강어부(秋江漁夫)

長天如水水生秋  一葦橫行萬頃流
相近相親鷗境界  自由自在雁汀洲
孤舟蓑笠情何極  滿地江湖興不收
鼓娥歸來時莞笑  滄浪淸濁付閑愁

긴 하늘같은 강물, 물위론 가을 빛 스며드는데
한 조각 고깃배는 만경창파 헤쳐 흐르는구나
가까이 왔다, 다시 멀어지곤 하는 갈매기와 벗하며
모래톱의 기러기처럼 자유자재로 움직이고
외로이 뜬배, 삿갓 쓴 정경, 얼마나 정겨운가
강호와 땅에 가득한 흥취 거둘 수 없네
돌아올 땐, 뱃노래 부르며, 빙긋이 웃는 모습
창랑, 청탁수에 한세상 한가함과 근심 맡긴 듯 하네

(2) 옥산 김원숙의 계림추색(鷄林秋色)

秋氣秋光分外淸 古都景物嗅愁生
寒烟不改前朝色 落葉猶傳故國聲
五十王宮如片夢 一千年代證荒城
歌娥豈識搔人趣 燕去鴻來亦感情

가을 기운과 빛, 분수 외에 맑은데
옛 서울의 풍경과 물색들 애수를 불러오고
차가운 안개 속, 지난 왕조의 색 그대론데
낙엽만이 고향의 소리 전하는구나
화려했던 오십오대의 왕조, 한조각 꿈속같고
일천년의 도읍터임을 잡초 우거진 성이 증거하네
아름다운 노랠 누가 알랴, 사람들은 시끄러운 걸 좋아하느니
제비와 고니 오고감에 이 역시 정감을 일으키게 하네

(3) 매계 윤병문의 중추월(仲秋月)

秋序三分際仲秋 桂宮如洗月華流
林間鬼魅忙藏跡 水底魚龍喜擧頭
但見山河輸霽景 那知風雨喚塵愁
明於團鏡淸於玉 敎我身心絶收求

가을을 삼분할제 팔월 한가위라
씻은 듯한 계궁, 달빛은 밝게 흐르고
수풀 사이론 두억서니, 한가한 듯 자취 감추고
물밑엔 어룡들 기쁜 듯 머릴 쳐드네
풍경이 맑게 개여 단지 산하가 보인다 하여
어찌 바람과 비에 불리어 오는 세상 근심 알 수 있으랴
둥근 거울보다 더 밝게 보이고, 옥보다 더 맑은 한가위 달이
나를 가르쳐, 몸과 마음을 더 크게 구하여 거두어주네

 
 

2. 영덕문인협회

1) 연 혁

1968.  6. 10 : 밝고 아름다운 삶을 누리며 향토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지성인의 조직이 요구되어 발기회를 가짐.
1968.  7. 11 : 창립 총회 개최 회칙 통과, 참석회원 16명(회명 : 청조회, 회장 : 박윤환)
1968.  8. 20 : 회명 개정(오십천)
1968.  9. 12 : 향토시화전 개최(77다방) 6일간
1968.  9. 21 : 회명 개정(칠령회)
1969.  3.  5 : 향토문화 간담회 개최(참석인원 : 150명)
1970.  9. 26 : 회원 정비 및 임원 개편(회장 : 이장희, 부회장 : 이상태)
1970. 12. 20 : ‘문학의 밤‘개최(77다방) 시조창, 시 낭송, 수필 낭독, 성악, 기타
1972.  1. 16 : 시화전 개최(77다방) 5일간
1972.  3. 20 : 『찰령』창간호 발간
1972.  7.  1 : 향토문화 좌담회 개최(매일신문 이태일 문화부 차장 임석)
1972. 10.  7 : 『칠령』제2집 발간
1973.  8. 15 : 『찰령』제3집 발간
1973. 10.  9 : 제1회 군내 초, 중, 고 학생 백일장 개최.
1974.  7. 15 : 『칠령』제4집 발간
1974. 10.  9 : 제2회 군내 초, 중, 고 학생 백일장 개최
1975. 10.  9 : 『칠령』제5집 발간 및 제3회 군내 학생 백일장 개최
1975. 12. 31 : 『칠령』제6집 발간
1976.  3.  8 : 시화전 개최(옥다방) 3일간
1976.  3. 20 : 문학의 밤 개최(현대예식장)
1976. 10.  9 : 제4회 군내 학생 백일장 개최
1976. 12. 15 : 『칠령』제7집 발간
1977.  7.  7 : 『칠령』제8집 발간
1977. 10.  9 : 제5회 군내 학생 백일장 개최
1978.  5. 20 : 『칠령』제9집 발간
1978. 10.  9 : 제6회 군내 학생 백일장 개최
1979.  5. 20 : 『칠령』제10집 발간
1979. 10.  9 : 제7회 군내 학생 백일장 개최
1980.  9. 30 : 『칠령』제11집 발간
1982. 12. 18 : 『칠령』제12집 발간
1983. 12. 10 : 『칠령문학』제13집 발간(표제명칭 칠령문학으로 변경)
1984. 11. 20 : 『칠령문학』제14집 발간
1985. 10. 30 : 『칠령문학』제15집 발간
1986. 10. 15 : 『칠령문학』제16집 발간
1986. 11. 30 : 박윤환 회원 시집 발간 기념(시집 : 「고래산 그림자」)
1987. 11. 30 : 『칠령문학』제17집 발간
1987. 10. 25 : 『칠령문학』제18집 발간
1988. 11. 22 : 『칠령문학』제18집 출판기념회 및 공로패 전달(이장희)
1989.  5. 27 : 향토문학 세미나 및 동인 등단 기념회
1989.  7.    : 육수범 회원 「시와의식」시부문 신인상으로 등단
1989.  8. 12 : 여름 강변 동호인 작품발표회 (회원 및 동호인 다수 참석 : 오십천 강변)
1989. 10. 25 : 『칠령문학 』제19집 발간
1990.  1.  1 : 조종문 회원 매일신문 신춘문예 동시 당선
1990.  5.    : 김도현 회원 「농민문학」시부문 신인상으로 등단
1990.  5. 23 : 제9회 학생 백일장 개최
1990. 10.    : 김도현 회원 「문학세계」시부문 신인상 수상
1990. 11. 10 : 『칠령문학』제20집 출판기념, 가을 시화전 및 문학의 밤 개최(11일간)
1990. 11. 15 : 『칠령문학』제20집 발간
1991.  8. 13 : 해변 문학 세미나 개최
1991. 12. 20 : 『칠령문학』제21집 발간
1992. 10. 18 : 제1회 군내 여성 백일장 개최
1992. 11. 20 : 금복문화예술상 (단체)수상
1992. 12. 15 : 『칠령문학』제22집 발간
1993. 10. 27 : 제2회 군내 여성 백일장 개최
1993. 12. 10 : 『칠령문학』제23집 발간
1994. 12.      : 박승렬 회원 「시세계」시부문 신인상으로 등단
1994.   8. 2 : 김재진 시인 출판기념회 개최
1994. 10. 27 : 문학의 밤 개최
1994. 11. 20 : 『칠령문학』제24집 발간
1995.  3. 11 : 유영갑 회원 「문학세계」시부문 신인상으로 등단
1995.  7. 22 : 강문종 회원 「한맥문학」 신인상으로 등단
1995. 11. 20 : 『칠령문학』제25집 발간
1995. 12.  7 : 『칠령문학』제25집 발간 축하 순회 시화전 개최
1996.  3. 25 : 『영덕문학』으로 표제 바뀜
1996.  4. 19 : 제12회 복사꽃 큰잔치 기념 시화집 『복사꽃 피는 고향』 발간
1996. 11. 12 : 『영덕문학』제26집 발간
1997.  1.    : 안기화 회원 「한맥문학」 시부문 신인상으로 등단
1997. 11. 14 : 영덕군 문화행사 기념 시화전 개최
1997. 11.  5 : 『영덕문학』제27집 발간
1998. 17. 11 : 박승렬 회원 「문학세계」수필부문 신인상 수상
1998. 10. 11 : 김도현 회원 제3회 「자랑스런 도민상(문화예술)」수상
1998. 11. 12 : 영덕군 문화행사 기념 시화전 개최(시화첩 발간)
1998. 11. 25 : 『영덕문학』제28집 발간
1999. 10. 15 : 한국문인협회 영덕지부 인준
1999. 11. 20 : 영덕문학 제29집 출판기념회 개최
2000. 10. 25 : 영덕문학 제30집 출판기념회 개최
2001. 10. 24 : 영덕문학 제31집 및 영덕문학 100년 선집 출판기념회 개최

 

2) 회원 명단
성   명
          강문종, 권기태, 김경화, 김도현, 김동수, 김진호, 박승렬, 박윤환, 박인환 ,
          송규하, 안국찬, 안기화, 우영식, 유영갑, 육수범, 이숭교, 이안국, 이영숙,
          이장희, 이재곤, 인창근, 정태조, 조종문, 최정해, 임봉기, 김무웅, 김신성,
          남상련, 박준환
 
3) 영덕문학 100년 선집 발간

  영덕 출신 등단 문인들이 “야시홀 문화권의 형성과 정신문화의 전통성을 찾아 향토문화의 꽃을 가꾸어 나가겠다”고 대표 작품을 모아 한 세기를 마감하며, “詩와 散文의 饗宴”이라고 엮었다.
   시(33人·97편), 산문(9人·9편), 영덕문협회원(11人·11편)과 영덕문학의 맥락(이장희 회장)과 수록문인 자료 및 주소록이 실린 223쪽의 책이다.

수록문인(가나다 순)

강문종, 권명희, 김경숙, 김대두, 김도현, 김동원, 김순남, 김자길, 김재진, 김정훈,
김진호, 김현옥, 박기현, 박남훈, 박병일, 박승렬, 박윤환, 박인환, 박정옥, 방태석,
백상태, 백의석, 손숙희, 송규하, 신진규, 안국찬, 안기화, 유국진, 유영갑, 육수범,
이덕희, 이명숙, 이숭교, 이영숙, 이운락, 이장희, 이재곤, 이재훈, 이태희, 인창근,
임봉기, 임영창, 임충빈, 정라곤, 정무수, 정태조, 조종문, 최삼영, 최해운.

 
 

3. 예맥회

   영덕 예맥회는 영덕 출신의 미술인들의 모임으로 창조적인 창작활동과 예술적인 소양을 함양시킴과 동시에 서로간의 친선도모와 향토미술의 발전을 위하여 진력하는 한편, 더 나아가서 민족문화의 뿌리가 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1985년 3월 9일에 창립되었다. 현재까지 영덕읍과 영해, 그리고 포항, 경주, 대구 등지에서 18회에 이르는 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매우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다.

〈회원 명단〉

김일환, 김재성, 장용호, 구두리, 윤계향, 류성하, 김석중, 김광중, 권종민, 박기현,
정석수, 김성년, 윤중진, 이해준, 박두용, 이재완, 배수관, 유영진, 전경표, 권미희,
이학림, 권원규, 박미향, 김명아, 남선모, 박병언, 강원수, 박주현, 손차선, 김령애,
권오하, 박태광, 최창규, 서석태, 정용인, 공세호, 남학호, 권대기, 이수천, 권재달,
최연경, 고성익, 장미경, 이순임, 임용홍, 전명덕, 김태환, 이재석, 김진태, 한삼율,
박경식, 권정운, 박상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