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인돌(支石墓) |
영덕지역의 유형의 문화유적에 대한 지표조사는 필요에 따라 단편적으로 조사된 적은 있으나 본격적인 지표조사는 1980년 경상북도의 “안동·동해문화권”의 지표조사 계획에 의하여 경북대학교 박물관팀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 이외에 국립경주박물관팀에 의하여1999년에 전 군에 대한 조사가 다시 한번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조사도 새로운 유물의 발굴에 중점을 둔 것이 아니고 대략적인 지표조사와 이미 출토된 유물의 수습에 국한된 것으로 군내의 전 지역에 대한 조사는 현재까지 이루어지지는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군 전체에 대한 유적과 유물의 분포를 파악하는데 다소 곤란한 점이 있다. 다음은 군내에 있는 고인돌을 개략적으로 기술한 것이다. |
썩은 바위 고인돌 금곡리 고인돌 |
1. 영덕 남산리 고인돌 |
영덕읍 남산리 농공단지 진입로 좌측편에 상석(上石) 1기가 있다. 농공단지 조성을 위하여 영남매장문화재연구원에서 조사 발굴한 결과로는 채집된 유물은 없었으며, 고인돌의 상석을 받치는 지석만이 있었다. 상석의 크기는 길이 250㎝×너비 240㎝×높이 210㎝이다.
|
2. 영덕 화수리 고인돌 |
영덕읍 화수리에 고인돌이 1기가 있다는 기록과 사진은 있으나, 현재에는 사라지고 없어 그 규모나 축조형식에 대하여 알아볼 수 없다.
|
3. 병곡면 영 4리 고인돌 |
병곡면 영 4리 190-1번지에 있는 고인돌로 드러나 있는 숫자는 모두 3기가 있다. 고인돌이 있는 위치는 현재의 썩은 바위 부근의 당집 뒷편 서쪽 능선 30m 부근의 정상부에 있다. 편의상 1,2,3호기로 구분하여 규모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외에도 이들 주변에 다수의 고인돌이 존재할 가능성이 많아 앞으로 정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
|
4. 병곡면 금곡리 고인돌
|
병곡면 금곡리 172-11번지의 논 가운데 1기의 고인돌이 있다. 고인돌의 크기는 폭이 180㎝, 길이가 210㎝, 높이가 57㎝이다. 장축방향은 동서로 향하여 있으며, 윗면에는 성혈이 9개가 있다. 성혈의 크기는 제일 큰 것이 직경 9㎝, 깊이가 4㎝이다. 주변의 묘지 등에 고인돌로 추정되는 바위가 묘의 축대로 쓰인 것으로 보여지며, 이를 보아 인근 지역에 다수의 고인돌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하겠다.
|
2. 석기산포지(石器散布地) 및 고분군
|
작지산 출토토기 |
|
최근에 와서 이 산 일대에 대한 지표조사 결과 산의 남쪽 경사면을 따라 일부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들이 수습되었는데, 특히 동산의 하단부에서는 석관묘가 발견되었다.
여기에서 발견된 유물은 세형동검으로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구류이다. 청동기시대에 들어와서도 청동무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고 특정의 계층만이 이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 세형동검이 출토되었다는 사실은 일정한 세력을 가진 지배집단이 이 지역에 존재하였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그 가치가 크다. 그 외에 이 지역에서 수습된 유물로는 반월형석도 2점·석촉·합인석부(蛤刃石斧)·구상봉두석(球狀棒頭石) 등이 있다. |
||
|
|
||
5. 기타 고분군
작지산 고분군이 위치하는 곳에서 남으로 골짜기를 하나 넘으면 나즈막한 능선을 따라 성내리 고분군이 펼쳐져 있는데, 대부분의 고분은 도굴과 토사에 의한 유실로 거의 원형상태를 잃어가고 있다. |
3. 관옥 및 곡옥
관옥(管玉)은 신석기시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쓰여진 생명력이 긴 장신구이다. 모양은 구멍을 뚫은 짧은 대롱모양의 형태로 짧은 것은 1㎝ 이하에서 긴 것은 10㎝ 이상 되는 것이 있다. 곡옥(曲玉)은 선사시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여 6세기 중엽까지 사용되어 진 것으로 모양은 옥의 머리부분에 구멍을 뚫어 금실이나 끈으로 매다는 일종의 장신구이다. 크기는 1㎝ 내외로부터 10㎝ 내외까지 다양하며, 대개 관옥과 곡옥은 같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