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절 복 식(服飾)

1. 평상복(平常服)

1) 남자복식

  남자복식은 연령에 따라 한복과 양복으로 대별(大別)되는데 여기에서는 우리 전통복식인 한복(韓服) 복식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① 저고리

저고리는 한복 상의의 기본으로서 사철 입는데 옷감은 여름에는 모시·삼베(안동 포)·엷은비단천이 주가 되고 봄가을이나 겨울에는 명주·옥양목·포플린·모직 등이다.

② 바지

바지는 하의(下衣)의 기본으로서 옷감으로는 여름에는 모시·삼베(안동포)·엷은 비단천을 주로 사용하고 겨울에는 옥양목·명주·모직 등을 이용한다. 특히 한겨울에는 무명바지에 솜을 넣어 가지고 입는 핫바지가 있는데 현재는 거의 볼 수 없으며 옥양목·명주·포플린도 사라지고 있으며 모직이 주가 되고 있다.

③ 고의(袴衣)

고의는 여름철에 입는 홑바지로 단고(單袴) 또는 단의(單衣)라고 하는데, 옷감으로는 모시·삼베(안동포)를 사용하고 봄가을에 내의를 입을 때는 무명이나 광목을 사용하였다.

④ 대님

대님은 바지 가랑이 끝쪽을 접어서 발목을 졸라매는 나비가 좁은 끈으로 감은 상하의와 같은 것으로 하는데, 색깔은 회색 또는 옥색을 많이 하는 편이다.

⑤ 마고자

저고리 위에 덧입는 웃옷으로 마괘자(馬子)라고도 한다. 저고리와 비슷하나 고름과 깃이 없으며, 섶을 여미지 않고 두 자락을 맞대기만 한다. 감은 비단으로 만들어 호박(琥珀) 따위 재료로 만든 마늘쪽 모양의 단추를 1∼2개 다는데 방한복으로 입으나 가장 사치스런 기분을 주는 한복이다.

⑥ 조끼

조끼는 저고리나 양복의 와이샤쓰 위에 덧입는 소매가 없고 주머니가 달린 옷으로, 동의(胴衣)라고도 하며 고급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 외출시에 휴대할 물건을 넣을 수 있는 주머니가 있기 때문에 필요성을 느낀다. 여름 조끼는 모시 또는 천을 사용하고, 겨울에는 모직이나 양단 종류를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⑦ 두루마기

두루마기는 주로 외출할 때에 입는 우리나라 고유의 웃옷으로, 옷자락이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며 섶·깃 등이 있으며, 솜두루마기·홑두루마기·겹두루마기 등이 있어 철에 따라 갈아입으며, 주막의(周莫衣)·주의(周衣)·주차의(周遮衣)라고도 하며 영덕에는 후루매기 또는 두루매기라고도 한다.

⑧ 토시(套袖)

토시는 여름에는 팔에 땀이 차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구로서 과거에는 대나무나 등칡으로 했으나 근년에는 나일론으로 만들었으며, 겨울에는 추위를 막기 위해서 썼는데, 저고리 소매 비슷하게 생긴 것으로 한 끝은 좁고 다른 한 끝은 넓다.

 

2) 여자복식

  여자복식은 남자의 기본복식에 치마가 더 삽입된 형태로 전국이 공통된 형태를 보이므로 종류만 제시한다.

 

① 저고리

저고리는 겹저고리와 솜을 넣은 솜저고리가 있다. 1960∼70년대에는 비단보다 값이 싼 나일론이나 포플린 종류를 많이 입었으나 요즈음은 비단으로 많이 해 입는다. 여름철에는 모시와 안동포를 해 입기도 한다.

② 적삼

윗도리에 입는 홑옷으로 모양은 저고리와 같으며, 단삼(單衫)이라고도 한다.

③ 회장 저고리

회장 저고리란 회장(回裝)으로 꾸민 여자 저고리로, 곧 삼회장 저고리와 반회장 저고리가 있다. 회장이란 여자의 저고리깃·끝동·겨드랑이·고름에 색헝겊으로 꾸민 것을 말한다.

④ 마고자

⑤ 두루마기

⑥ 치마

여자의 아래에 입는 겉옷으로서, 폭은 위에 주름을 잡아 말기에 달았는 긴치마와 또 양쪽 선단이 없이 통(筒)으로 지은 통치마가 있는데 통치마는 집에서 활동을 할 때 입지만 외출용으로 별로 입지 않는다. 여름철에는 모시나 안동포로 많이 해 입는다.

⑦ 단속곳

치마 속 바지 위에 덧입는 옷으로, 요즈음은 속치마를 단속곳보다 더 많이 입는다.

⑧ 속곳

바지밑 제일 속에 입으며, 속속곳과 단속곳을 통털어 일컫는 말로 속속곳은 다리 통이 넓고 밑이 막힌 맨 속에 입는 속옷이며, 단속곳은 치마 속, 바지위에 덧입는 속곳이다.

⑨ 바지

⑩ 버선

버선은 천을 잘라 만든 맨발에 꿰어 신는 것으로, 솜버선·겹버선·홑버선과 또 어린아이들의 꽃버선 등이 있다. 이 버선은 사철 신으며 빛깔은 흰색으로 일정 하다. 감으로는 옥양목·광목·나일론 등이 사용되나 요즈음은 버선보다 간편한 양말을 즐겨 신는다.

 

3) 유아복식

  애기가 태어났을 때 제일 먼저 입히는 옷으로 보드라운 담이나 가제 또는 광목으로 만들며, 유아(幼兒)가 명(命)이 길기를 바라는 뜻으로 실띠를 채우기도 한다.

4) 복색(服色)

  한복(韓服)의 기본 복색은 흰색(白色)이나 아동복과 여성복은 다양한 색채를 보이고 있다.
  남자 여름철 외출 복색으로 저고리는 대부분 백색이며 조끼는 회색, 백색, 청색, 자주색 등이며, 두루마기는 백색과 회색이 많으며, 바지는 백색과 회색이 많지만 최근 비단으로 된 옷감일 경우는 다양한 색을 띄고 있다.
  여자 여름철 외출 복색으로 저고리는 백색, 녹색, 청색, 남색, 황색 등이며, 치마는 분홍색, 백색, 적색, 흑색, 청색, 갈색, 녹색 등 다양하다.

 

5) 제작(製作)
  옷을 지을 때에는 주로 지난번에 입던 옷을 본을 떠가지고 그 칫수대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남자 저고리 경우는 품, 길이, 화장, 어깨동정의 칫수만 재고 깃은 대강 짐작해서 단다.
  바느질 순서를 보면, ① 고름 접기 ② 어깨동 지르기 ③ 소매달기 ④ 등솔 호기 ⑤ 섶 달기 ⑥ 깃 (또는 짓) 달기 ⑦ 긴동 (또는 진동) 달기 ⑧ 배래 호기(또는 배알호기) ⑨ 도련 ⑩ 안팎 맞추기 ⑪ 뒤집기 ⑫ 시침 ⑬ 고름 달기 ⑭ 동정 달기 순이다.
  남자 바지 경우는 가슴둘레, 길이, 마루폭 길이 정도의 칫수만 잰다. 바느질 순서를 보면 ① 마루폭 붙이기 ② 배래호기 ③ 허리 달기 ④ 안 짓기 ⑤ 안팎 맞추기 ⑥ 뒤집기 ⑦ 솜 넣기 ⑧ 시침 넣기 순이다.
  치마의 경우 칫수는 가슴둘레, 치마길이 정도면 된다. 바느질 순서를 보면, ① 끈 접기 ② 허리 만들기 ③ 폭 붙이기 ④ 단 공그르기 ⑤ 주름 잡기 ⑥ 허리 달기 순이다
  두루마기의 경우는 품, 등길이, 화장 정도만 칫수로 재면 된다. 바느질 순서를 보면, ① 고름 접기 ② 어깨 호기 ③ 등솔 호기 ④ 겉섶, 안섶 달기 ⑤ 깃달기 ⑥ 무 달기 ⑦ 긴동(또는 진동) 달기 ⑧ 배래(또는 배알) 호기 ⑨ 도련 꺽기 ⑩ 안팎 맞추기 ⑪ 뒤집기 ⑫ 시침 넣기 ⑬ 고름 달기 ⑭ 동정 달기 순이다.
  한복 몇가지의 제작 순서를 나열해 보았다. 1970년대까지도 한복은 집에서 지었으나 1980년대 이후부터 한복을 만드는 점(店)이 영덕 군내에도 들어서게 되었고 또 삼밭이나 명밭(목화밭)이 담배 등 특수작물로 의해 사라지게 되자 가내 수공업(家內手工業)은 자연 도태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현재는 대부분 맞춤 한복이다.

 
 

2. 노동복(勞動服)

  우리나라에는 특별한 전통적 노동복은 없다. 평상시 가정내에서 입는 복식이 곧 노동복의 주류가 되고 있다.

  남자의 여름 노동복의 경우는 상의는 런닝샤스, 위의 남방샤스를 주로 입고 하의는 팬츠에 작업복이나 반바지를 입는다. 머리에는 보리집모자(맥고모자)나 보통 운동모를 쓰기도 한다. 신발은 대부분 고무신이나 운동화 계통의 신발을 신는다. 1950∼60년대에는 삼베로 만든 옷과 고무신, 짚신 등을 신었다.
  특히 여름 작업시에 등거리(肩垂衣:등받이)란 것을 사용하였다. 이 등거리는 등에 땀이 차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대나무나 등칡으로 된 것이었는데 1970년대경부터는 나이론으로 한 것이 사용되었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1950년대만 해도 버선 위의 발바닥부터 정갱이까지 베를 감아 올리던 감발이 있었는데 이것은 모를 심을 때와 산에 나무를 하러 갈 때 옷에 풀이 닿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비가 올 때는 맥고모자에 비옷이나 비천을 쓰고 모내기 등 일을 한다. 그러나 1950-60년대만 해도 대나무로 엮은 갈모나 띠로 엮은 갈쑥데지를 쓰고 짚으로 엮은 우장(도롱이)을 입고 일을 하였는데 도롱이, 갈모, 갈쑥데지 등은 볼 수 없다.
  여자 노동복은 몸뻬다. 이 옷은 제2차대전 때 몬페이즈봉이라 하여 일본에서 유행했던 옷의 영향으로 생긴 옷으로 주로 여름에 입지만 가을과 겨울에도 두꺼운 천으로 지어 입는다. 상의는 쉐타 등을 주로 입으며 머리에는 흰 타올을 걸치거나 타올 위에 창이 큰 모자를 쓴다. 이것은 땀도 닦고 직사광선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이외에 가정에서의 여자 노동복에는 행주치마로 불리는 앞치마를 사용하고 있다.

 
 

3. 의례복(儀禮服)

1) 혼례복(婚禮服)

  혼례복은 구식혼인과 예식장에서 올리는 예식에 따라 다르다.
  1960년대만 해도 구식혼례를 올렸으나 현재는 예식장에서 예식을 올리고 있다.
예식장에 혼례를 할 경우, 신부는 예식장에서 빌린 흰드레스를 입고 신랑은 검은색 또는 검은 빛이 나는 파란색 신사복을 입는다.
  구식혼례를 할 경우 혼례복은 개인이 소장하거나 마을에서 공유하고 있다.
  복식은 신랑은 머리에 사모를 쓰고 바지, 저고리 위에 두루마기를 입고 그 위에 쌍학의 흉배가 달린 관복을 입고 허리에는 요대(腰帶)를 하고 신은 갓신을 신는다. 신부는 머리에
칠보단장을 한 쪽도리를 쓰고 댕기를 꽂는다. 상의는 녹색저고리 또는 분홍저고리를 입으며, 하의는 홍색치마, 그리고 그 위에 원삼 또는 활옷을 입는다.
  혼례식에 입는 겉옷을 우티 또는 우테라고 하며 혼례복 이외에 시부모에게 선물용으로 해 드리는 옷과 이불 등을 혼인 인사옷이라고도 한다.

2) 상복(喪服)

  통과의례 조에서도 간략하게 언급했지만 상복은 전통적 상복이 지켜지고 있는 편이나 검은 양복에 삼베완장을 두르는 상주도 볼 수 있다. 여기서는 우리 전통 상복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본다.

(1) 남자 상복

① 굴건(屈巾, 屈冠) :

상복을 입을 때 두건(頭巾) 위에 덧쓰는 건(巾)으로, 폭이 손가락 세 개 정도의 베 오리를 세 솔기가 지게 하고 뒤에 종이로 배접을 하여 빳빳하게 만들어서 두 끝을 휘고 끈을 꿰어서 쓰고 그 위에 수질을 눌러 쓴다.

② 바지·저고리·두루마기 :

삼베를 주로 하나, 요즈음은 표백하지 않는 광목을 쓰기도 한다. 이 옷은 졸곡제(卒哭祭)까지 빨아 입지 않는다.

③ 상복(중단 中單) :

두루마기 겉에 입는 것으로 바느질을 호아서 하고 동정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④ 제복(祭服) :

굵은 삼베를 사용해서 만든다.

⑤ 요질(腰) :

상복을 입을 때에 허리에 띠는 띠로, 짚에 삼을 섞어서 굵은 동아줄처럼 만드는데, 남상(男喪)을 당하면 삼을 익혀서 만든 유골마를 사용해서 좌로 땋고, 여상(女喪)에는 짚에 삼을 감아서 사용해서 우로 땋는다.

⑥ 수질(首) :

남상을 당하면 노끈을 달고, 여상을 당하면 삼베끈을 단다. 영덕읍 노물리의 경우 닥껍질을 달기도 한다.

⑦ 상장(喪杖) :

부상(父喪)에는 네마디로 된 대나무 막대기를, 모상(母喪)에는 버드나무 막대기를 짚는다. 일부 다른 지방에서는 어머니 거상에 오동나무를 쓰기도 한다.

⑧ 다님(대님)
⑨ 행전
⑩ 버선

⑪ 엄신(엄짚신) :

짚신의 신총에 종이를 감는다. 그러나 요즈음은 고무신을 많이 신는다.
 
(2) 여자 상복
 

① 수질 :

태관이라고도 한다.

② 치마·저고리 :

외상(外喪:男喪)을 당하면 단을 하지 않고 마름질만 하지만 내상(內喪:女喪)일 때는 단을 단다.

③ 제복
④ 요질
⑤ 수질
⑥ 상장
⑦ 버선
⑧ 엄신 :

고무신을 더 많이 신는다.

 
  상주가 미혼(未婚)이면 제복을 입지 않고 중단만 입으며, 또 굴건 대신 삼으로 한 테두리만 쓴다. 그 밖에 상장과 신은 동일하며 조카일 경우는 굴건 제복·수질은 동일하지만 요질은 하지 않는다.
  소상(小祥) 때 변복을 하면 삼띠는 칠기띠(칡띠)로 바꾸게 된다. 또 상주가 여막에 있을 때는 굴건을 하고 집안에 있을 때는 두건을 쓰고, 외출시에는 상복·띠·행전을 하고 폐립을 쓰고 고무신을 신는다. 과거에는 출입시 방립(方笠·방갓)을 쓰고 엄신을 신었지만 요즈음은 사라졌다.
  기제사 때의 남자의 경우는 갓·탕건을 쓰고 바지·저고리에 두루마기를 입고 그 위에 도포를 입고 수실이 달린 띠를 맨다. 갓이 없으면 유건(儒巾)을 쓰는데, 현재는 갓이 점점 사라지고 유건을 많이 쓰며, 젊은 층의 남자는 양복을 주로 입고, 여자들의 경우는 평상시의 옷을 깨끗하게 갈아입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