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마시(司馬試) 급제자
갑오경장으로 과거제도가 폐지되기 전까지 나라에서 시험을 거쳐 인재를 선발하는 방식은 대개 생원과 진사를 선발하는 사마시와 문과와 무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들 시험에서의 급제는 사대부로써의 확고한 자격을 부여받는 수단으로 간주되어 수많은 유생들이 학문에 정진하면서 과거시험을 준비하였다. 따라서 우리 지역의 많은 선비들도 이들 시험에 도전하였으며, 또한 많은 인사들이 급제의 영광을 얻었다. |
1) 영덕지역의 사마시(생원,진사) 급제자 영덕지역의 사마시 급제자는 생원과 진사를 합쳐 그 수가 적기 때문에 생원과 진사 구별없이 싣는다. ① 영덕지역의 사마시(생원, 진사) 급제자 |
||
|
||
|
||
|
||
|
||
2) 영해지역의 사마시(생원, 진사) 급제자
과거제도가 실시된 고려시대에 있어서도 영해의 많은 인사들이 사마시 혹은 다른 시험에 합격하여 지역을 빛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려시대의 사마시 급제자 명단의 전부를 알 수 없다. 다만 「영영승람」에 기록된 것을 기준으로 여기에 싣기로 한다. |
① 고려시대 사마시 급제자
|
||
|
||
② 조선시대 사마시(생원) 급제자
|
||
|
||
|
||
|
||
|
||
|
||
|
||
|
||
|
||
③ 조선시대 사마시(진사) 급제자 |
||
|
||
|
||
|
||
|
||
|
||
생 국규(國珪)임. 영조 50년(1774)의 증광시에 2등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됨. 동년에 증광문과에 급제하였음. 백기동(白基東, 1822∼?) : 본관은 대흥, 자는 덕온(德溫), 부는 태주(兌周)이나 생부는 학생 태규(兌奎)임. 철종 10년(1859)의 증광시에 3등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됨. 장석중(張錫重, 1809∼?) : 본관은 울진, 자는 치홍(致弘), 부는 학생 충익(忠翼)임. 고종 17년(1880)의 증광시에 3등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됨. 정달용(鄭達龍,1874∼ ?) : 본관은 연일, 자는 문약(文躍), 부는 유학 동석(東奭)임. 고종 31년(1894)의 식년시에 3등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됨. 정 찬(鄭 燦, 1874∼?) : 본관은 연일, 자는 도형(道亨), 부는 유학 은억(垠億)임. 고종 31년(1894)의 식년시에 3등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됨. 장주완(張柱完,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울진으로 호는 운초(雲樵)임. 부친은 진사 장석중으로 고종 28년(1891)에 진사시에 급제하였음.(영영승람) 김준성(金準聲, 생몰년 미상) : 본관은 김녕으로 호는 정암(靖庵)이며, 고종 28년(1891)에 사마시에 급제하였음(영영승람). 진호언(秦好彦, 생몰년 미상) : 조선조 사마시 합격(단양부지, 영영승람). 진호문(秦好問, 생몰년 미상) : 조선조 사마시 합격(단양부지, 영영승람). |
|
2. 영덕과 영해지역의 문과 급제자 1) 고려시대 문과 급제자 고려시대 영덕과 영해의 문과 급제자에 대한 기록은 매우 소략(疏略)하다. 따라서 기존 |
군지의 자료를 1차 자료로 하여 고려시대 문과 급제자를 등재하고자 한다. |
||
|
||
|
||
|
||
2) 조선시대 영덕과 영해의 문과 급제자 조선시대의 문과 급제자에 대해서는 「국조방목(國朝榜目)」을 기준으로 하고, 1938년에 발간된 「교남과방록(嶠南科榜錄)」을 참고로 하였다. 군내의 기존 군지에 문과 급제자로 등재된 경우에도 위의 책에 보이지 않으면 생략하였다. 여기서는 영해와 영덕지역을 구별하지 않고 급제년도 순으로 등재하였다. 김신민(金新民. 1398∼?) : 본관은 경주, 사마시 합격자 참고. 세종9년(1427)의 식년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됨. 관은 부제학에 이름. 정자영(鄭子英. ?∼1474) : 본관은 야성. 부는 증자헌대부이조판서행통례원봉례(贈資憲大夫吏曹判書行通禮院奉禮) 지도(之道)임. 세종 16년(1434)의 알성문과에 급제하였음. 학유, 박사, 집강, 사예 등의 학관을 지내고 세조(1465)에 사성, 첨지중추원사, 시강원우보덕을 거쳐 세조13년(1467)에 공조참판이 되었음. 성종 1년(1470)에 지중추부사가 됨. 예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문경(文敬)의 시호를 받았음. 오랫동안 학관을 지내며 많은 선비를 길러내었음. |
||
김수문(金秀文. 1432∼?) : 사마시 합격자 참고. 성종 3년(1472)의 문과에 급제하였음. 의흥현감(義興縣監), 전라도사, 사간원헌납에 이름, 시문에 능하였음. 박소영(朴召榮. 1429∼?) : 본관은 밀양. 자는 길보(吉甫). 양부는 미(楣). 친부는 극충(克忠)임. 성종16년(1485)에 문과에 급제하여 황해도 감사. 부제학에 이른 후 연산군 때에 유배를 당하기도 하였음. 문계창(文繼昌. 생몰년 미상) : 본관은 남평. 호는 양심정(養心亭). 부는 첨정 극충(克忠)임. 연산 17년(1504)에 문과에 급제한 후 목사에 이름. 남 숭(南白崧.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영양. 자는 백인(伯仁). 부는 노(老). 중종 32년(1537)의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에 이름. 박 전(朴白全, 1514∼1558) : 본관은 무안. 자는 면부(勉夫). 호는 송파(松坡). 부는 진사 원기(元基)임. 명종 4년(1546)의 증광 문과에 급제한 후 호조정랑에 이름. 이 함(李白涵. 1554∼1644) : 본관은 재령. 사마시 합격자 참고. 선조 33년(1600)에 문과에 급제한 후 의금부도사, 사재감 직장, 주부, 의령 현감에 이름. 박선장(朴善長. 1557∼1616) : 본관은 무안. 자는 여인(汝仁). 호는 수서(水西). 부는 전(全)임. 선조 36년(1603)의 증광별시 문과에 급제한 후, 경상도 도사를 지냄. 박 한(朴白, 1576∼1652) : 본관은 무안. 자는 윤보(潤甫). 부는 선장임. 선조 36년(1603)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판교에 이름. 박돈복(朴敦復 1584∼1647) : 본관은 무안, 사마시 합격자 참고, 인조 2년(1624)의 증광별시에 급제한 후, 장령에 이름. 이 해(李白楷, 1619∼1661) : 본관은 재령, 자는 원례(元禮), 부는 신일(薪逸)임. 현종 8년(1657)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성균학유, 봉상시 봉사를 역임함. |
권도흥(權道興, 1634∼1661) : 본관은 안동, 자는 태연(泰然), 부는 진사 상길임. 현종 1년(1660)의 증광문과에 합격하여 성권(成權)에 이름. 권상임(權尙任, 1622∼1700) : 본관은 안동, 자는 사중(士重), 호는 강파(江坡), 부는 찬(瓚)임. 현종 10년(1669)의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판교, 풍기군수, 군자정감를 역임하였음. 강파집 3권 1책이 있음. 남붕익(南鵬翼, 1641∼1687) : 본관은 영양, 자는 자거(子擧), 호는 입천(卄川) 또는 회수(晦), 부는 참봉 두원(斗遠)임. 현종 14년(1673)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현감과 예조좌랑을 역임. 백세흥(白世興, 1630∼1699) : 본관은 대흥, 사마시 합격자 참고, 숙종 1년(1675)의 식년전시의 문과에 급제한 후, 동학교수를 지냄. 박신지(朴身之, 1629∼1705) : 본관은 함양, 사마시 합격자 참고, 숙종 1년(1675)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울산부사를 역임하였음. 남노명(南魯明, 1642∼1721) : 본관은 영양, 사마시 합격자 참고, 숙종 10년(1684)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거창현감을 지냄. 저서 「익양연방집」이 있음. 권대임(權大臨, 1659∼1723) : 본관은 안동, 사마시 합격자 참고. 숙종 13년(1687)의 정시(庭試) 문과에 급제한 후, 사헌부 감찰, 함경도도사, 자인현감, 예조정랑, 만경·보령 현감을 지냄. 문집 4권 2책이 있음. 남하명(南夏明, 1658∼?) : 본관은 영양, 사마시 합격자 참고, 숙종 19년(1693)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찰방을 역임하였음. 남구명(南九明, 1661∼?) : 본관은 영양, 사마시 합격자 참고, 숙종 19년(1693)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순천부사, 제주목사를 지냄. |
박태두(朴泰斗, 1658∼1753) : 본관은 무안, 자는 경첨(景瞻), 호는 열락재(悅樂齋), 부는 내봉임. 숙종 24년(1699)의 기묘부태묘증광(己卯太廟增廣) 문과에 급제한 후, 성균관사예를 역임하였음.
남국한(南國翰, 1667∼?) : 본관은 영양, 자는 임중(任重), 호는 와유헌(臥遊軒), 부는 두명(斗明)임. 숙종 24년(1699)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자인현감을 역임하였음. 권대항(權大恒, 1663∼1713) : 본관은 안동, 자는 만구(萬九), 부는 양부 상원(尙遠), 친부 득여(得與)임. 숙종 31년(1705)의 식년문과에 합격하여 도사를 역임. 권대규(權大規, 1676∼1747) : 본관은 안동, 사마시 합격자 참고. 숙종 41년(1715)의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사예와 삼례도 찰방, 전적, 현감, 사헌부 감찰을 역임. 권만두(權萬斗, 1674∼1753) : 본관은 안동, 사마시 합격자 참고. 숙종 43년(1717)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장수현감, 예조정랑을 지냄. 김하구(金夏九, 1676∼1762) : 본관은 수안. 사마시 합격자 참고. 숙종 45년(1719)의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병조정랑과 현감을 지냄. 김정구(金鼎九, 1680∼1724) : 본관은 수안. 사마시 합격자 참고. 경종 3년(1723)의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 및 도사를 역임. 박시태(朴時泰, 1674∼ ?) : 본관은 함양, 자는 이형(而亨), 부는 원규(元圭)임. 영조 7년(1729)의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직강과 찰방을 지냄. 백사윤(白思潤, 1697∼?) : 본관은 대흥, 자는 덕재(德哉), 호는 향산(香山), 부는 명담(命聃)임. 영조 17년(1741)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기주관과 성균관사예, 현감을 역임하였음. 박두상(朴斗相, 1711∼?) : 본관은 무안, 자는 자앙(子仰), 부는 소(蕭) 임. 영조 17년(1741)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별제(別提)를 역임함. 남제만(南濟萬, 1712∼?) : 본관은 영양, 부는 국형(國衡)임. 영조 17년(1741)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정자 및 좌랑을 지냄. 문과급제 당시의 거주지는 경주임. |
전광옥(田光玉, 1694∼1761) : 본관은 담양, 사마시 합격자 참고, 영조 23년(1747)의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감찰 및 직장을 역임. 남기만(南基萬, 1730∼1796) : 본관은 영양, 사마시 합격자 참고. 영조 50년(1774)의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사간원정언 및 지평에 이름. 남경희(南景羲, 1748∼?) : 본관은 영양, 자는 중은(仲殷), 부는 용만(龍萬, 경주거주)임. 정조 1년(1777)의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정언을 지냄. 남경용(南景龍, 1749∼?) : 본관은 영양, 자는 자유(子喩), 호는 소은(小隱), 부는 도만(圖萬)임. 정조 7년(1783)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병조정랑을 역임하였음. 권창익(權昌益, 1730∼1810) : 본관은 안동, 부는 달령(達齡), 재채(載采). 호는 대와(臺窩)로 정조 22년(1798)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도사를 지냈으며,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음. 권 규(權쫛, 1774∼1826) : 본관은 안동, 자는 원회(元晦), 호는 대치재(大癡齋), 부는 창진(昌進)임. 순조 9년(1809)의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사헌부지평에 이름. 이시헌(李時獻, 1771∼?) : 본관은 영천, 자는 필성(弼聖), 호는 운양(雲陽), 부는 오위장 종선(宗煽)임. 순조 10년(1810)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정언에 이름. 권홍복(權弘復, 1776∼1840) : 본관은 안동, 부는 양형(養衡)임. 호는 묵옹(默翁)으로 이치를 궁구하여 학문에 박식하였으며, 순조 16년(1816)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찰방과 장령을 지냄. 신대원(申大元, 1777∼1831) : 본관은 평산, 부는 첨추 상호(진)(相鎬,鎭)임. 순조 28년(1828)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성균관전적, 사간원정언, 시강원필선겸춘추관편수관을 역임. 백해운(白海運, 1804∼?) : 본관은 대흥, 자는 덕노(德老), 호는 지송헌(知松軒), 부는 첨추 거섬(居暹)임. 순조 31년(1831)의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병조참의를 역임함. |
김용기(金龍騎, 1806∼1863) : 본관은 강릉, 부는 병관(秉觀)임. 순조 32년(1832)의 경과정시(慶科庭試)에 급제하였음. 증직으로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겸 경복궁 위장을 받았음. 남명익(南溟翼, 1795∼?) : 본관은 영양, 자는 이운(以運), 부는 경우(擎宇)임. 헌종 9년(1843)의 식년문과에 급제하였음. 이상학(李尙鶴, 1846 ∼?) : 본관은 월성, 자는 문수(聞). 부는 동수(東秀)임. 고종 5년(1868)의 정시문과에 급제하였음. 김철수(金哲洙. 1874 ∼1921) : 본관은 광산. 자는 세유(世有), 호는 도계(道溪)이며, 부는 의금부도사 영하(永厦)임. 고종 27년(1890)의 경과별시에 급제하여 통훈대부 시독시강(侍讀侍講) 비서랑(秘書郞)을 역임하였으며, 문집과 유고가 있음. |
3. 영덕과 영해의 무과 급제자
조선시대의 무과는 문과와 마찬가지로 매 3년마다 한번씩 정규적으로 실시되는 식년무과와 임시로 실시되는 증광시, 별시, 알성시, 정시, 춘당대시(春塘臺試) 등의 비정기적인 무과시험이 있었다. 무과의 선발인원은 식년시의 경우 28인이라는 규정이 있었으나, 거의 지켜지지 않았다. 일예로 후기에 들어와서는 수백명을 뽑기도 하였으며, 심지어 고종 21(1894)의 경우에는 무려 1,147명의 인원을 선발하기도 하였다. |
1) 영덕의 무과 급제자 김응삼(金應參,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야성으로 중종 1년(1506)에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관이 부사과에서 어모장군에 이르기까지 20여년 동안 나라에 충성을 다하다가 노년에 은퇴하여 고향으로 돌아왔다. 신종부(申從溥. 1503∼1575) : 본관은 평산. 부는 성균생원(成均生員)인 신명우(申命佑)이다. 자는 옥경(沃卿)이며, 호는 공북정(拱北亭)으로 중종 35년(1540)에 무과에 급제하여 거제현령, 한성부판관, 영암군수, 울산군수를 역임하였다. 일찍부터 경서에 밝아 당대에 이름이 있었다. 김난서(金鸞瑞, 1563~?) : 본관은 수안. 부는 장사랑(將仕郞) 김호(金浩)이다. 자는 계인(季仁), 호는 경모재(敬慕齋)로 중종조에 무과에 급제하여 하양과 울산, 영일현령, 군수를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에 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2등에 올랐다. 신종회(申從澮, 생몰년 미상) : 본관은 평산. 부는 신명령(申命齡)이며, 고려조의 판예빈시사(判禮貧寺事)였던 신득청(申得淸)의 후손이다. 자는 경청(景淸)으로 명종조에 급제하여 선무랑부사직을 역임하였다. 김 흔(金쫛昕,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수안. 부는 김난서이다. 자는 휘보(輝普)로 선조 27년(1594)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화왕산성의 곽망우당 진영에 합류하여 왜적과 싸웠다. 신인상(申麟祥, 1512∼?) : 본관은 평산, 주부 희(禧)의 후손으로 부친은 신종부이다. 선조와 광해조에 걸쳐 활동하였으며, 아침 일찍이는 서예를 익히고 저녁에는 무예를 익혀 무과에 급제하였다. 관이 중추부사에 이르렀다. |
신응룡(申應龍, 1533~ ?) : 본관은 평산, 부친은 부사직 신종회이다. 선조조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략장군(宣略將軍)을 역임하였다.
신홍제(申弘濟, 1534∼?) : 본관은 평산. 부는 판결사 신봉상(申鳳祥)이다. 선조 27년(1594)의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주부에 이르렀다. 임진왜란 때는 화왕산진에 참가하여 공적이 있었다. 장희식(張希,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순천, 부는 장두(張斗)이며, 선조24년(1591)에 무과에 급제하여 임진왜란 때에 중위장(中尉將)으로 부산첨사 정발의 휘하에서 부산성을 공격하는 왜적을 맞이하여 고군분투하였으나, 중과부족으로 진중에서 전사하였다. 신위망(申魏望, 1598∼1633) : 본관은 평산, 부는 판관 신철(申澈)이다. 광해군 11년(1619)에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참군(訓鍊參軍)에 이르렀으며, 인조 2년(1624) 2월에 일어난 이괄(李适)의 난에 공을 세워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에 책봉되었으며, 병조참의에 증직되었다. 유시경(柳時, 생몰년 미상) : 본관은 문화, 자는 윤선, 호는 수일재, 부는 직장 유자영(柳自英)이다. 인조 10년(1632)에 무과에 급제하여 봉사(奉事)로 있을 때, 인조14년(1626)에 일어난 병자호란에 인조를 호종하여 남한산성에 머물며 서울의 여러 선비들과 의병을 일으켜 적과 싸움을 벌였으나, 결국 중과부족으로 전사하였다. 김범철(金範哲, 생몰년 미상) : 본관은 김녕, 순조31년(1831)에 무과에 급제하여 종4품인 선략장군에 올랐다. 차세남(車世南,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연안, 철종조에 무과에 급제하여 부사과를 역임하였으며, 수직으로 가선대부 동지충추부사를 받았다. 김수진(金洙珍,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야성, 자는 계원(啓遠), 호는 둔호(遯湖)이며 고종29년(1892)에 무과에 급제하여 참봉에서 선략장군으로 승급한 뒤 다시 부사용(副司勇)으로 있을 때, 1894년 갑오동학 혁명이 일어나자 진압군으로 참여하여 치열한 전투를 치룬 후 고향으로 물러나 음풍농월하는 전원생활을 즐겼다. |
김상현(金象賢, 생몰년 미상) : 일찍이 문묵(文墨)에 종사하다가 늦게 과거에 급제함.
장일취(張日就, 생몰년 미상) : 무과에 급제하여 동래부사를 역임함. 장세온(張世溫, 생몰년 미상) : 무과에 급제하여 우후(虞侯)에 이름. 장희역(張希繹,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인동, 중위장 장희식의 동생으로 무과에 급제함. 김대성(金大成,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야성으로 김응하의 손자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승정원 주서 및 홍문관 교리에 이름. 정 하(鄭쫛賀, 생몰년 미상) : 무과에 급제함. 김 욱(金쫛旭,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수안. 부는 우후 김인서(虞侯 金麟瑞)로 무과에 급제한 후 제주판관을 역임하였음. 신영남(申英南, 생몰년 미상) : 본관은 평산, 부는 참봉 신득서(申得瑞)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사과(訓鍊院司果)에 이르렀을 때 인조 2년(1624) 2월에 있었던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데 많은 공을 세워 진무원종공신 2등에 책봉되었다. 윤사휘(尹士輝, 1561∼?) : 본관은 파평, 자는 광원(光遠), 호는 임경대(臨鏡臺) 이다. 임진왜란때 화왕산성에 가서 공적을 세웠으며, 화왕입성동고록에 등재되어 있다. 무과에 급제하여 주부를 역임하였다. 윤응빙(尹應聘, 생몰년 미상) : 무과에 급제함. 윤삼빙(尹三聘, 생몰년 미상) : 무과에 급제함. 장민항(張敏恒, 생몰년 미상) : 무과에 급제함. 신 항(申쫛航, 생몰년 미상) : 무과에 급제함. |
신 황(申쫛, 생몰년 미상) : 무과에 급제함.
신명열(申命說, 생몰년 미상) : 무과에 급제함. 2) 영해의 무과 급제자 박종문(朴宗文,1428∼1467) : 본관은 야성, 부는 사직 박이지(司直 朴以智)이며, 세종 31년(1449)에 무과에 급제하여 제주통판(濟州通判)에 이르렀으며, 이후 함길도 도사로 전근되어 근무하다 1467년 5월 초(음력)에 함길도를 중심으로 일어난 이시애난을 진압하던 중 군문에서 전사하였다. 박자범(朴自範, 1464∼1528) : 본관은 야성, 부는 도사 박종문이다. 성종 21년(1490)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으로 특채되었으며, 이산군수(理山郡守)를 역임하였다. 이 애(李쫛, 1480∼1561) : 본관은 재령, 부는 관찰사를 지낸 이맹현(李孟賢)이다. 중종 10년(1515)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사헌부감찰, 무안현감(1522), 동왕 23년(1528)에는 함창현감, 동왕 27년(1532)에는 도총부도사, 경주판관, 이후 울진현령을 역임하였다. 손 인(孫쫛寅, 생몰년 미상) : 중종 23년(1528)에 무과에 급제하여 감찰(監察)을 역임하였다. 박세현(朴世賢, 1531∼1593) : 본관은 무안, 자는 공보(公輔)이며, 부는 공조참의로 증직된 박영기(朴榮基)이다. 중종 38년(1543)에 무과에 급제하여 북지(北地)에 근무할 때 적을 물리친 공로가 있었으며, 경상도좌수사를 역임하였다. 남배영(南英, 생몰년 미상) : 성종과 중종 년간의 인물로 본관은 영양, 부는 진사 남전(南)이다. 중종 40년, 인종 1년(1545)에 무과에 급제하여 사직(司直)을 역임하였다. 권응당(權應唐, 1514~1564) : 본관은 안동으로 부친은 충순위 권희언(權希彦)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만호를 역임하였다. |
박세렴(朴世廉, 1535∼1593) : 본관은 무안, 자는 공근(公謹)이며, 부는 박영기이다, 명종 13년(1558)에 무과에 급제하여 미조항진관(彌助項鎭管) 적양수군권관사(赤梁水軍權管使)가 되었으며, 선조 5년(1572)에 승의랑문군기시(承議郞文軍器寺), 동왕 6년(1578)에 군기시첨정, 영일현감, 동왕 26년(1593)에 의주판관을 역임하였다.
남 광(南쫛廣,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영양, 부는 진사 남한립(南漢粒)이다. 명종 14년(1559)에 무과에 급제하여 좌부장(左部長)을 역임하였다. 박의장(朴毅長, 1555∼1615) : 본관은 무안, 호는 청신재(淸愼齋)이며, 부는 영일현감, 의주판관이었던 박세렴(朴世廉)이다. 선조 10년(1577)에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경주판관으로 있었으며, 경주성 탈환의 공으로 경주부윤이 되었다. 시호는 무의(武毅)이다. 임진왜란때 세운 공으로 선무원종공신 1등에 녹훈되었다. 박홍장(朴弘長, 1558∼1598) : 본관은 무안, 자는 사임(士任), 호는 농아당(聾啞堂)이며, 부는 영일현감 박세렴이다. 선조 13년(1580)에 무과에 급제하여 아이만호, 선전관, 제주판관, 영암군수, 대구부사를 역임하였으며, 1592년 12월 22일에 정사 양방형(楊方亨), 부사 심유경(沈惟敬)을 따라 황신(黃愼)과 더불어 일본에 갔다 왔으며, 이후 상주목사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부임하지 못하였다. 윤변룡(尹變龍, 생몰년 미상) : 본관은 파평, 자는 수녕(壽寧)으로 선조 13년(1580)에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관이 소위장군(昭威將軍)에 이르렀으며, 훈련원첨정 및 내승(內乘)에 추증되었다. 윤신룡(尹信龍, 생몰년 미상) : 본관은 파평, 선조 13년(1580)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훈련원 봉사 및 사정(司正)에 이르렀다. 정 담(鄭쫛湛, 1548∼1592) : 본관은 야성, 자는 언결(彦潔), 호는 일헌(逸軒)이며, 부는 내영위선략장군부사과 정창국(內營衛宣略將軍副司果 鄭昌國)이다. 선조 16년(1583)에 무과에 급제하여 경원(慶源)판관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때에는 김제군수로 있으면서 호남평야를 빼앗기 위하여 전력으로 공격하여 오는 왜군을 김제 웅치(곰재)에서 이를 물리치고 장렬히 전사하였다. 나라에서는 가선대부 병조참판을 증직하였으며, 시호를 장렬(壯烈)이라 하였다. |
권의정(權宜正, 1560~1632) : 본관은 안동, 부는 좌부장 권응상(權應商)이다. 선조 27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판관에 이르렀다. 임진왜란에 참여하였다.
박응립(朴應立, 생몰년 미상) : 본관은 무안, 자는 원백(元伯). 부는 첨추 박경장(僉樞 朴敬長)이다. 선조 27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훈련원봉사, 첨정에 이르렀다. 이시중(李時中,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재령, 부는 첨정 이준(李濬)이다. 선조 27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백중립(白中立, 1563∼1645) : 본관은 대흥, 자는 이강(而强)으로 부는 진사 백현룡(白見龍)이다. 선조 27년(1594)의 훈공과(勳功科)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부친을 배행(陪行)하여 화왕산성진에 참여하였으며, 관이 전라도 우후(虞侯)에 이르렀다. 남광조(南光祖,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영양, 부는 통정대부 남경복(南景福)이다. 선조 27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남광세(南光世, 1561∼?) : 본관은 영양, 남광조의 동생으로 선조 27년(1594)의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호군(護軍)에 이르렀다. 백몽룡(白夢龍, 생몰년 미상) : 본관은 대흥, 자는 달서(達瑞)로 부는 승지 백충언(白忠彦)이다. 선조 27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여 어모장군(禦侮將軍) 훈련원판관에 이르렀다. 백사언(白士彦, 생몰년 미상) : 본관은 대흥, 선략장군충좌위 백언충(白彦忠)의 동생이다. 선조 27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백몽린(白夢麟, 생몰년 미상) : 본관은 대흥, 자는 경서(景瑞)로 부는 승지 백충언이다. 선조 27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영해부사 한효순(韓孝純)과 영해전투에서 왜군을 무찌르는데 공을 세웠으며, 판관과 의령현감을 역임하였다. 김광일(金光一, 생몰년 미상) : 본관은 김녕, 자는 군필(君弼)로 선조 27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주부에 이르렀다. |
남 율(南쫛慄,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영양, 자는 자관(子寬)이며, 선조 32년(1599)에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망우당 곽재우의진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원종공신록에 올라 주부에 제수되기도 하였으며, 훈련원 판관에 이르렀다.
주 건(朱쫛健,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신안, 자는 중립(仲立)으로 부는 참봉 주춘령(朱椿齡)이다. 선조 27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수문장에 이르렀다. 박 유(朴쫛瑜, 1576∼1618) : 본관은 무안, 자는 백헌(伯獻)이며, 부는 무의공 박의장이다. 선조 36년(1603)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경주에서 곽재우 장군의 창의군에 합류하였으며, 임란 이후에는 4개군의 수령을 역임하였으며, 청렴결백하다는 소리를 들었다. 남의록(南義祿, 1551∼1620) : 본관은 영양, 자는 계수(季綏)로 부는 좌부장 남광이다. 선조 36년(1603)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이보다 앞서 임진왜란 때에는 경주성전투에서 큰공을 세웠으며, 또한 곽재우 진영에 참여하였다. 원종공신록에 등재되었으며, 관이 조산대부 군기시판관에 이르렀다. 백득인(白得仁, 생몰년 미상) : 본관은 대흥, 자는 영중(榮仲), 호는 두암(杜庵)으로 부는 첨추 백수렴(白受廉)이다. 선조 36년(1603)에 무과에 급제하여 장수현감에 이르렀다. 권의신(權宜愼, 1565~1618) : 본관은 안동, 부장 권응하(權應夏)이다. 선조 36년(1603)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첨정에 이르렀으며, 공신록에 등재되어 있다. 권의척(權宜, 尺1573~1624) : 본관은 안동, 부는 부장 권응하이다. 선조 36년(1603)의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훈련원 판관에 이르렀다. 권의협(權宜, 1579~1644) : 본관은 안동, 부는 부장 권응상(權應商)이다. 선조 36년(1603)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판관에 이르렀다. 증직으로 사복시정을 받았다. 윤봉선(尹奉先, 생몰년 미상) : 본관은 파평, 선조 36년(1603)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판관에 이르렀다. |
신흥립(申興立, 생몰년 미상) : 본관은 평산, 자는 여생(汝生)으로 광해군 6년(16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박 륵(朴이, 1594∼1656) : 본관은 무안, 자는 숙헌(叔獻)으로 부는 무의공 박의장이다. 광해 10년(1618)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회령판관, 도총부도사, 도감을 역임하였다. 남 로(南이櫓, 1580~1643) : 본관은 영양, 부는 봉사 남정방이다. 광해 12년(1620)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훈련원 봉사에 이르렀다. 남 벌(南이, 1576∼1636) : 본관은 영양, 부는 봉사 남정방(南靖邦)이다. 광해 13년(1621)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훈련원 봉사에 이르렀다. 박 서(朴이, 1628∼1687) : 본관은 무안, 부는 선교랑 박문도(朴文度)이다. 숙종 1년(1675)에 무과에 급제하였으나, 벼슬길에는 나가지 아니하였다. 이지환(李之煥, 1649∼1725) : 본관은 재령, 자는 광언(光彦)으로 부는 봉사 이해(李楷)이다. 숙종 2년(1676)에 무과에 급제하여 진해현감을 역임하였으며, 선정을 베풀어 고을 백성들의 칭송이 있었다. 이지경(李之, 1652∼1731) : 본관은 재령, 자는 명언(明彦)이고, 호는 애련당(愛蓮堂)으로 부는 봉사 이해이다. 숙종 2년(1676)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선전관, 훈련원주부, 사헌부감찰에 이르렀으며, 후에 웅천현령, 순장(巡將)을 역임하였다. 김선만(金善萬,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선산, 자는 위경(渭敬)으로 부는 병조참의로 증직된 김익중이다. 숙종 32년(1706)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박서규(朴瑞奎, 생몰년 미상) : 본관은 함양, 부는 장사랑 박진(將仕郞 朴)이다. 숙종 40년(1714)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절제사에 이르렀다. 김익중(金益重,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선산, 자는 상삼(尙三), 호는 용암(龍庵)으로 부는 참판으로 증직된 김천길(金天吉)이다. 경종 1년(1721)에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 겸 선전관, 미조항과 우수영의 진관(鎭官)을 역임하였다. 영조 4년(1728)의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는데 참여한 공으로 양무원종공신록(楊武原從功臣錄)에 올랐으며, 증직으로 통정대부와 병조참의에 올랐다. |
김선겸(金善兼,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선산, 자는 달경(達敬)이고, 호는 만귀(晩歸)이며, 부는 병조참의로 증직된 김익중이다. 영조 13년(1737)에 무과에 급제하여 부친의 덕으로 음사(蔭仕)로 나아가 선전관과 어모장군을 역임하였으며, 제주도에서 발생한 비서(誹書) 난을 일으킨 주모자를 체포한 공으로 사천현감에 제수되었다. 김종현(金宗鉉,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선산, 자는 군옥(君玉)으로 부는 현감 김선겸이다. 정조 6년(1782)에 무과에 급제하여 음사(蔭仕)로 선전관과 훈련원도정을 지냈으며, 증직으로 병조참판에 이르렀다. 이가홍(李佳洪,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진성, 정조 19년(1795)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선전관에 이르렀다. 김계운(金啓運, 생물년 미상) : 본관은 안동, 정조 19년(1795)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김 억(金쫛億,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선산, 자는 수여(壽汝)이고 호는 치롱(癡聾)으로 부는 훈련원도정 김종현이다. 순조 1년(1801)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강계만호, 절충장군 부호군,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및 오위장에 이르렀다. 박세순(朴世淳, 1539∼1621) : 본관은 무안, 관이 중추부사에 이름. 박양준(朴良俊,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야성, 부는 박자범(朴自範)으로 관이 삼척부사에 이름. 박효장(朴孝長, 생몰년 미상) : 본관은 무안, 자는 사원(士源). 부는 참봉 박붕(朴鵬)으로 관이 현감, 만호에 이름. 박응발(朴應發, 1556∼1656) : 본관은 무안, 자는 시보(時甫). 부는 박효장으로 관이 군자정감에 이름. |
백충언(白忠彦, 1538∼1609) : 본관은 대흥, 호는 상의당(尙義堂)으로 관이 선략장군충좌위에 이르렀으며, 선무원종 공신 2등에 녹훈되었으며,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에 증직되었음. 백몽표(白夢彪, 생몰년 미상) : 본관은 대흥, 부는 백충언으로 임진왜란 때의 공으로 선전관, 동래판관 도총부경력에 이름, 선조 27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고종 11년(1874)에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로 추증됨. 주 량(朱쫛樑,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신안, 자는 백립(伯立), 부는 참봉 주춘령(朱椿齡)으로 훈련원봉사로 임진왜란을 치룬 후, 관이 주부에 이름. 박정호(朴廷豪, 생몰년 미상) : 관이 경산현감에 이름. 박종호(朴宗濠, 생몰년 미상) : 관이 대정현감에 이름. 신덕용(申德龍, 1566∼?) : 본관은 단양, 자는 운서(雲瑞)이며, 관이 판관에 이름. 박신걸(朴信傑, 생몰년 미상) : 본관은 함양. 관이 봉사에 이름. 박문걸(朴文傑, 1559∼1597) : 본관은 함양, 호는 경한재(景寒齋), 부는 좌부장 박정서(朴呈瑞)로 임진란에 곽망우당의 화왕산성진에 합류하였으며, 선조22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훈련원봉사에 이르렀으나, 화왕산전투에서 전사하였음. 박의걸(朴義傑, 생몰년 미상) : 본관은 함양, 부는 참봉 박인서(朴麟瑞)로 선조22년(1594)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봉사에 이름. 박희안(朴希顔, 1568∼1617) : 본관은 함양으로 호는 경운재(景雲齋)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 29년(1596)에 팔공산회맹에 참여하였으며, 정유재란 때에는 화왕산성진에도 참여하였다. 무과에 급제하여 통사랑, 군자감 봉사에 이르렀다. 김명호(金明虎, 생몰년 미상) 신치중(申致中, 생몰년 미상) : 본관은 평산, 관이 만호에 이름. |
김언남(金彦男, 생몰년 미상) 박응란(朴應蘭,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영해. 박홍란(朴弘蘭,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영해. 박의남(朴義男, 생몰년 미상) 권이도(權以道,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안동. 신몽익(申夢翼, 생몰년 미상) : 본관은 평산. 권 욱(權쫛旭,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안동. 이기남(李起南, 생몰년 미상) 박응장(朴應長, 생몰년 미상) : 본관은 무안. 자는 경서(景瑞). 부는 절도사 박세현이며, 관은 판관에 이르렀음. 박 거(朴쫛, 생몰년 미상) : 본관은 무안. 자는 사경(士瓊)으로 부는 판관 박응장이며, 무과에 급제하였다. 박 근(朴쫛謹, 瑾 생몰년 미상) : 본관은 무안. 부는 판관 박응장으로 무과에 급제하였다. 남대진(南大, 생몰년 미상) 유 학(兪쫛鶴, 생몰년 미상) 김정준(金貞俊, 생몰년 미상) : 본관은 김녕. 선조대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어모장군 용양위 부사정에 이르렀음. 박준무(朴俊茂, 생몰년 미상) |
이 번(李쫛蕃, 생몰년 미상) 윤일룡(尹一龍, 생몰년 미상) 박충걸(朴忠傑, 생몰년 미상) 윤여림(尹汝霖, 생몰년 미상) 신순길(申舜吉, 생몰년 미상) 임희언(林希彦,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예천, 부는 봉사 임인상(林仁祥)임. 임희일(林希一, 생몰년 미상) 박영일(朴榮一, 생몰년 미상) 임희번(林希蕃, 생몰년 미상) 박기영(朴起榮, 생몰년 미상) 박취영(朴就榮, 생몰년 미상) 박구영(朴九榮, 생몰년 미상) 박춘란(朴春蘭,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영해. 부는 첨사 박경순(朴慶純)임. 신국량(申國良, 생몰년 미상) 김응생(金應生, 생몰년 미상) : 본관은 함녕. 관이 훈련원 첨정에 이름 김수생(金水生, 생몰년 미상) : 본관은 함녕. 관이 부사에 이름. |
박대남(朴大男, 생몰년 미상) 박춘번(朴春蕃, 생몰년 미상) 남무성(南武成,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영양. 관이 봉사에 이름. 신필의(申必義, 생몰년 미상) 김태영(金泰榮, 생몰년 미상) 박 휴(朴쫛, 1662∼1685) : 본관은 무안. 자는 유원(有源). 부는 선교랑 박문도이며, 무과에 급제하여 관이 부사과에 이르렀다. 이지찬(李之燦, 1662∼1702) : 본관은 재령. 관이 감찰에 이름. 박 운(朴쫛澐, 생몰년 미상) 신 위(申쫛渭, 생몰년 미상) 임한백(林漢伯, 생몰년 미상) 김계건(金啓鍵, 생몰년 미상) 김상잠(金尙潛, 생몰년 미상) 박순철(朴舜哲, 생몰년 미상) 박선희(朴善希, 생몰년 미상) 최창우(崔昌佑, 생몰년 미상) 진홍립(秦弘立, 생몰년 미상) : 관이 훈련원정. 오예포(吾乂浦) 수군만호를 관할하여 서쪽 지경에 이르러 공을 세움에 진무공신이 되었다. |
김성종(金聲鍾, 생몰년 미상) 김일신(金日新, 생몰년 미상) 송인각(宋仁珏,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여산. 관이 부사과에 이르렀으며, 증직으로 통훈대부를 받았음. 박동한(朴東翰,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죽산. 증직으로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에 이름. 박종수(朴宗秀,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죽산. 증직으로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에 이름. 박태항(朴泰恒,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죽산. 경연원참찬관에 이름. 박규서(朴奎瑞,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죽산. 증직으로 자헌대부행용양위대호군에 이름. 방승원(方承源,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온양. 어모장군행부사과에 이름. 방진척(方震倜,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온양. 통훈대부행내사서에 이름. 방진걸(方震傑,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온양. 어모장군행사과에 이름. 방홍기(方弘紀, 생몰년 미상) : 본관은 온양. 절충장군부사직에 이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