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려시대의 정치
고려시대의 통치세력의 근간은 개국초에는 호족(豪族)연합이 그 중심이었으나, 체제가 안정되고 제도가 정비되는 성종과 현종 대에 이르러서 시행된 과거제도나 음서제도 등에 따라 호족세력이 일부 약화되고 과거제도나 음서제도에 의하여 선발된 신진세력과 호족연합 세력으로부터 두각을 나타낸 문벌귀족(門閥貴族)들이 통치의 중심에 선 문벌귀족정치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시작된 고려의 통치 세력의 근간은 점차 후대로 내려오면서 이들 문벌귀족과 권문세가, 사대부세력들이 지배층을 형성하여 정치를 담당하였다. 〈고려시대의 정치, 행정 구성도〉 |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고려시대의 정치는 중앙과 지방이 나누어져 시행되었는데, 중앙은 3성과 6부, 그리고 중추원 , 어사, 삼사로 정치가 이루어졌으며, 지방은 5도 양계(兩界)로 정치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우리 지역은 지방제도의 하나인 5도 중의 경상도에 속하였으며, 각 도에는 도호부, 그리고 부와 현으로 이어지는 계통을 가졌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우리 지역의 정치적 변화는 먼저 태조 23년인 940년에 야성군은 영덕군으로 고쳐지고, 유린군은 예주로 고쳐지는 읍호(邑號)의 변경이다. 이는 우리 지역이 신라의 중심지였으므로 새로 개국한 고려조에서는 통일신라 때에 사용하던 읍호를 고쳐 새 왕조가 개국되었음 알리는 한편, 명실상부한 고려의 영토임을 나타내고자 하는데 일단의 목적이 있었다. 이 후 현종 9년인 1018년에 예주에 방어사를 두어 인근의 영덕군·보성부·영양군·평해군·청부현·송생현을 관할하도록 하여 영해가 동해안 지역의 정치의 중심지가 되도록 하였다. 고려초의 우리 지역과 타 지역과의 관계를 그림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위와 같이 이 지역의 정치는 예주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져 왔으며, 예주에는 중앙에서 파견되는 외관(外官)인 부사(방어사 겸임)에 의하여 다스려졌으며, 고려초에는 예주에만 중앙관리가 파견되어 인근의 군현을 예주에 소속시켜 다스렸다. 중기 이후에 가서야 각 군 현에도 중앙의 외관이 파견되어 지역의 정치·행정을 펼쳤다.
여러 기록을 통하여 예주에 파견된 지방관을 살펴보면 부사(방어사 겸직)·부방어사·판관·사록·장서기 등이 중앙에서 파견되어 지방의 조세의 수납과 운송, 그리고 지역의 문교의 진흥에 힘쓴 것으로 생각되며, 영덕에는 현령 또는 감무가 파견되어 온 것으로 파악된다. |
2. 조선시대의 정치
조선시대 정치체제의 대강은 양반관료제에 의한 정치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조선을 건국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계층이 고려말에 이르러 새롭게 부상한 사대부 계층들인데, 이들이 새 왕조에 들어와서 문반(文班)과 무반(武班)의 관직을 차지하면서 또 하나의 지배층을 형성하여 그들만의 특권을 향유하였다. |
3. 일제 식민정치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반도는 일제에 의한 식민통치의 질곡(桎梏) 아래에 있었다. 일제에 의한 본격적인 식민통치는 1910년부터 시작되었지만 일제에 의한 실질적인 한반도 잠식은 1875년 9월 20일 일어난 일본군함인 운양호가 강화도에 불법 침입하면서 일으킨 운양호사건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일본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조선을 협박하여 억지 주장을 펼치다 마침내 1905년에 들어와서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바꾼 구한국의 일부 국가통치권인 외교권 등을 하나 둘씩 늑탈(勒奪)하여 차후에 그들의 식민지로 만들 바탕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