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군 액

 조선시대 전 기간 동안 이 지역은 연안방어의 요충지로써 그 군사적인 중요성을 인정받아 첨절제진이 설치되어, 오늘날의 상비군과 같은 유방군 2여(旅)가 상시(常時) 이 지역에 주둔하고 있었으며, 바다에서는 연해의 방비를 위하여 축산포진과 오포진의 수군진이 설치되어 동해안의 해로를 확보하고 바다로 침입하는 외적을 막아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역할을 한 이 지역의 방어를 위한 지방군과 중앙군을 위한 군비(軍備)의 정도를 알 수 있는 것이 군액의 크기이다. 군액이란 군인의 숫자를 말한다.
  영덕현과 영해부에 소속된 군액의 정도를 기 발행된 각종 「읍지」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 전기의 군액은 전기의 군제편에 「세종실록지리지」를 통하여 언급하였기에 여기에서는 임진왜란 이후의 군액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우리 지방의 전기의 군액에 대하여서는 자료의 부족으로 상세하게 알 수가 없다. 다만 후기 군액의 규모로 보아 전기에도 이와 필적할 만한 군액이 이 지역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을 할 뿐이다.

〈영덕현〉

훈련도감포수보 109명,유황군 4명,장락원악공정군 1명,보 19명,호조장인 1명,어영수포군 42명,별파보 5명,제번정군 8명,자보 8명,상번정군 13명,자보 14명,복마보 1 명,병금위영수포군 35명, 제번정군 4명,자보 4명,군기시 별파보 49명,병조내취군 35명,충순보유청군 2명,균역청선무 70명,총융청의승군 2명,순영성정군 8명,작령군관 21명,영수솔군 6명,물선군 49명,사천 19명,춘등병영물선군 66명,사천 19명,추등수영선장군 7명,수군 611명,무학 208명,여사부 4명,속오군 205명, 마대군 20명, 봉군 100명

〈1832년 영덕읍지〉

충장위 1명,기병 44호 보 93명,보병 33호 보 57명, 2인병 보 89명,낙강여정 1명,봉군 17호 보 16명,사복제원 2명, 율생 4명,의생 5명,서원 4명,약부 3명,공조장인 23명,악생 2명 보 10명,선공감장인 2명,수군 34호 보 67명 경포 보 55명,어영군 34호 보 72명,호련대보 5호,금위별대 8호 보 26명,경상보병 2호 보 2명,금위보직 14명,비변사장인 13명,사옹원장인 3명,호조야장인 1명,속오군 233명,별대 19명

〈영영승람〉

〈영해부〉

금위정군 6명,자보 6명,마보 1명,관납보 6명,어영정군 20 명,마보 1명,어보 2명,훈련도감포보 54명,승호포수 1명,병 조납금보 5명,보충대 1명,사복제원 22명,장락원악공정군 1명,보 4명,균역청선무군관 61명,충익부충익위 5명,순영 물선군 43명,중영유황군 11명,병영물선군 53명,수영수군 28명,중영수군 8명,부산진탄사부 450명,봉군 200명,속오군 242명,별대 41명

〈1832년 영해읍지, 영영승람은 1832년의 영해읍지의 것과 동일함〉

  위의 군액을 살펴보면 정군(正軍,兵)으로 역을 수행하는 경우와 군역 및 기타 재정을 위
하여 군포(軍布)를 수납하는 봉족(奉足)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것도 양반이나 천민들은 제외되고 양인들만 부담하는 것으로 보통 양역(良役)이라 불렀다.
  이것도 조선시대 후기에 들어오면서 사회기강이 해이해 지면서 군액을 피하는 자가 많이 발생하여 소수의 농민들이 다수의 군액을 부담하는 일이 비일비재하여 농민들은 더욱 더 고통이 배가되었으며, 이러한 것이 조선시대 후기 민란 발생의 주요한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2. 군 기(軍器)

  위의 군액과 함께 각 군현에는 군기고가 있어 부임하는 수령들은 수시로 파손된 군기를 고치고 부족한 군기는 채워서 항상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이 지역에도 영해부와 영덕현의 군기고(軍器庫)가 있어, 그 시대에 만들어진 최신의 군기들이 여기에 비축되었다가 유사시에 요긴하게 사용되었을 것이지만 현재에 이에 대한 기록이 부실하여 그 전모를 알아보기가 쉽지 않다.
  현재 남아 있는 기록으로는 영해는 1832년경의 「영해군읍지」와 1896년의 「영해읍지부사례(寧海邑誌附事例)」가 있으며, 영덕은 1896년의 「영덕읍지부사례」가 있다.
  이들 자료에 의하여 영덕과 영해의 군기고에 보관되었던 각종 군기들에 대한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덕현〉

조총 268병(柄),화약 3,764근 1전 5푼,연환(鉛丸) 216,933개, 각궁 37장,전(箭) 496부(部) 20개,환도 6병,창 366병,능철 (菱鐵) 1,800개,기(旗) 18면(面),철두구 1부,독(纛) 1좌,고 3좌,거마작(拒馬作) 29좌,왜창 40병,지엄심(紙掩心) 14부, 각부자 30개,삼혈총 2병,통아 253개, 화승 139사리

〈1896년 영덕읍지부사례〉

〈영해부〉

묵각궁 39장,교자궁 41장,장전 270부 24개,편전 152부15개, 환도 103병,부각자(斧角子) 41병, 통아 350개,당갑(唐甲) 1부,백목엄심 3부,백목엄두 3부,지엄두 2부,지엄심 2부,장창 107병,거마작 55좌,편곤(鞭棍) 33병,능철 1,300개,삼혈총 2병,남비개 22개,이약통 20

개,약승 710개,화승 66사리,화철석 22개,궁노 1좌,수노 1좌,목표자 298개,조총 397병,화약 1,215근 2냥 6전,연환 90,920개,적추공석 1,560립

〈1832년 영해읍지, 1896년 영해읍지부사례는 동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