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제기차기
제기는 엽전 따위를 헝겁에 싸서 묶은 다음 윗쪽을 실타래처럼 만든다. 제기는 한 사람이 차기도 하고 여러 사람이 모여서 마주 차기도 한다. 차는 방식은 한번 차고 땅을 딛기도 하고 땅을 딛지 않고 계속 차기도 한다. 또 제기 하나로 몇 백 까지 차기도 하고 차올린 제기를 머리 위나 어깨로 받아서 한순간 다리를 쉬기도 하고 발 안쪽과 바깥쪽은 물론이고 발등과 발뒤축 또는 무릎으로 차는 재주를 부리기도 한다.
놀이 방식은 진쪽에서 상대방의 서너걸음 앞에서 제기를 발부리에 던지면 이긴 사람은 힘껏 멀리 차낸다. 진쪽이 차낸 제기를 손으로 잡지 못하면 몇번이고 반복해서 던져 주어야 하며 차는 쪽에서 헛발질하면 던져주는 입장에서 벗어난다.
또 제기를 차다가 자기편에 넘기기도 하며 순서없이 둥글게 둘러서서 아무나 차기도 하는데 이때 만약 헛발질 한 사람은 제기를 던져 주어야 한다. 이것은 일부 지방에서는 종들이기라고 한다.
< 참고문헌(參考文獻) >
-심우성(沈雨晟), 「우리나라 민속놀이」, 동문선(東文選), 1996.
-임동권(任東權), 「민속(民俗)놀이」,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경북편), 문화공보부(文化公報部) 문화재(文化財) 관리국(管理局), 1974.
-정병호(鄭昞浩), 「농악(農樂)」, 열화당, 1986.
-촌산지순(村山智順) 박전열(朴銓烈) 역(譯), 「조선(朝鮮)의 향토오악(鄕土娛樂)」,
집문당(集文堂), 1992.
-문화출판사 편, 「조선의 민속놀이」, 민속원, 1997.
-영덕여자고등학교(盈德女子高等學校) 향토(鄕土) 민속문화(民俗文化), 「월월이 청청」자료(資料).
-경상북도교육위원회, 「전통문화(傳統文化)의 맥(脈)」, 1987.
-민속학회 편, 「민속놀이와 민중의식」, 집문당,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