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절 특용작물
농업의 일반적 환경으로 지형, 기후, 토양 등을 들 수 있다. 우리 군은 경상북도의 동해안 동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서쪽은 울진과 영양, 서남쪽은 청송과 포항에 접하고, 동쪽은 53㎞의 해안에 접하고 있다. 1. 잠 업 1) 광복 이전의 지역의 잠업 우리나라 잠업은 마한시대부터 누에치기와 베짜기를 가르쳤다는 「삼국지위지동이전」의 기록으로 보아 약3,000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후 삼한시대를 거쳐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역대의 왕들이 누에치기와 베짜기를 장려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태종(1401∼1418)은 왕비친잠(王妃親蠶)의 예법을 정하여 궁중에서도 누에를 치게 하였으며, 세조는 종상법(種桑法)을 공포하는 한편, 「잠업주해(蠶業注解)」를 편찬하여 잠업의 보호와 육성에 힘썼다. |
2) 현대 영덕의 잠업 1913년 경상북도에 잠업취체소(蠶業取締所)를 설립하고, 1919년에는 조선잠업령(朝鮮蠶業令)을 제정, 공포하는 등 일제는 강압적 방법으로 잠업육성을 기도하여 한때는 세계4위의 잠업국으로 성장하기도 하였으나, 태평양전쟁이 한창인 1942년에는 조선잠사업통제령(朝鮮蠶絲業統制令)을 공포하여 누에고치의 수매제도를 일정한 양의 고치를 농가에 할당하여 강제로 판매케 하는 공출제도로 바꾸었다. 이는 전쟁물자의 확보를 위한 일제의 간악한 술책으로 할당된 공출량이 항상 과중하여 잠업농가에서는 크나큰 고통이 되었다. 따라서 농민들은 양잠을 기피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영향이 광복 이후에까지 미쳐 광복 후에도 양잠을 기피하게 되어 많은 뽕나무밭이 황폐해져 갔다. |
이어 1959년부터 1963년까지 새로운 ‘잠업증산 5개년’ 계획을 세웠으나, 이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 가운데, 다시 잠사업 증산 10개년 계획을(1961∼1970) 세우고, 잠사업의 기본이 되는 잠업법을 제정, 공포하여 우리나라의 잠업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기 시작하였다. |
2. 담 배
담배는 현재 북위 60˚에서 남위 40˚에 걸쳐 전세계에 재배되고 있는 기호식품이다. 우리나라에는 광해군 10년(1618년)에 일본으로부터 전파되었거나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것으로 보이며, 1921년까지 자유경작을 하다가 이후에 전매제로 바뀌었다. |
3. 참깨, 땅콩, 약용작물
특용작물은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는 농산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환금성(換金性)이 강하다. 우리 지역에서는 섬유작물인 닥나무와 유료작물(油料作物)인 참깨와 땅콩 등이 지역의 특용작물로 재배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