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봉수제

1) 전기의 봉수제

  조선시대의 봉수제는 고려의 4거(炬,햇불) 구분의 제도를 그대로 이어받아 오다 세종조에 이르러 5거로 세분하여 시행하였다. 이러한 5거의 구분도 바다와 육지로 나누어서 시행 하였는데, 바다에서는 평상시에는 1거를 올리고, 적이 바다에 나타나면 2거를 올렸으며, 해안에 적이 접근하면 3거를 올려 위급을 알렸으며, 아군의 전함과 외적의 전함이 접전하여 전투가 벌어지면 4거를 올렸다. 그리고 외적이 해안에 상륙하여 아군의 육지방어군과 전투가 벌어지면 5거를 올려 급보를 알렸다.
  한편 육지에서는 평시에는 1거를 올리고 있다가 적이 국경밖에 나타나면 2거를 올렸으며, 적이 국경에 접근하면 3거, 국경을 침입하면 4거를 올려 위급에 대비하도록 하였으며, 아군과 적이 교전하면 5거를 올려 급보를 서울의 목멱산의 종착지에 알렸다.
  이러한 바다와 육지에 있어서의 봉수의 구별이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 혼란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결국은 하나로 통일하여 시행하게 되었는데, 「경국대전」 병전(兵典) 봉수조에 살펴보면 육·해의 구분없이 5거로 규정하여 전달체계의 통일성을 기하고 있다.
  봉수를 전달하는 봉수선로(烽燧線路)는 전국을 5개의 선로로 나누어 위급의 상황을 직보하는 5로의 직봉(直熢)체제와 이 직봉 사이의 중간 지역을 연결하는 간봉(間熢)체제로 나누는 2원체제로 운영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2원체제 아래에서 전기의 우리 지역의 봉수선로는 동래 다대포에서 시작되어 서울 목멱산에 전달되는 직봉 사이의 중간지역을 연결해주는 보조선로로 규정되어 있었다. 그 연결선로는 다음과 같다.

동래→울산→경주→독산(장기)→복길(장기)→뢰성(영일)→발산→
대동배(영일)→지을(흥해)→오봉→

                                            광산(영해)→남각산(진보)→안동

                 ↑

          도리산(청하)→황석산(영덕)→별반산(영덕)→대소산(영해)

                 ↓

                          후리산(후포)

  위에서 보듯이 전기에 있어서 우리 지역의 봉수선로는 오늘의 부산 다대포를 시발로 동해남부 해안선을 따라 북상하여 포항의 대동배를 거쳐 청하의 도리산 봉수대 (현 화진해수욕장 남쪽의 산)에 이르게 되고, 도리산 봉수대의 봉화는 영덕의 황석산 봉수대에 연결된다. 황석산 봉수대는 현재 강구4동의 뒷산 일대에 있었다. 황석산에서 받은 봉화는 다시 창포 뒷산의 별반산 봉수대로 연결되며, 별반산 봉수대는 축산의 대소산 봉수대로 봉화를 념겨주게 된다. 대소산 봉수대는 서쪽으로는 오늘날의 영해면 원구리의 봉화산인 광산 봉수대로 봉화를 연결시켜 주게 되며, 북으로는 후포의 후리산 봉수대로 봉화를 연결시켜 준다. 대소산 봉수대로부터 봉화를 넘겨받은 광산 봉수대는 봉화를 진보의 남각산 봉수대로 넘겨주면서 우리 지역의 봉수대의 역할은 모두 마치게 된다.


                                                                           망일봉 봉수대

2) 후기의 봉수제

  조선시대 초기에 확립된 봉수제는 을묘왜변(乙卯倭變)과 임진왜란 전까지는 거의 외침이 없는 평화의 시대로 봉수대의 정비와 관리는 거의 부실화되었다. 따라서 임진왜란과 같은 비상시에는 봉수대의 정비불량으로 거의 제 구실을 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그 보완책으로 파발제(擺撥制)를 도입하여 역참의 역할을 강화시키는 한편, 기존의 봉수제도를 정비하여 국가 비상시를 대비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후기에 들어와서 영덕과 영해지역의 봉수제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이나, 다만 영덕지역에서는 황석산 봉수대가 폐지되어 4개의 봉수대 중에 1개가 줄어들었다. 그러나 황석산 봉수대가 언제 봉수선로에서 제외되었는지는 현재 기록이 없어 자세한 것을 알 수 없다. 다만 1832년의 「영덕읍지」에 그 이름이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폐지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후기에 들어와서 구한말에 이르러 전국의 봉수제가 폐지될 때까지 우리 지역에서 이루어졌던 봉수선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덕현〉

청하현 도리산 봉수 → 창포리 별반산 봉수

〈영해부〉

진보 신법산 봉수

광산 봉수

창포리 별반산 봉수 → 축산 대소산 봉수 → 평해 후리산 봉수

  위의 자료는 1832년의 「영덕·영해읍지」의 것인데, 영덕현의 황석산 봉수대는 폐지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2봉수대에서 1봉수대로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 1개의 봉수대를 유지하기 위하여 봉대별장(烽臺別將)을 비롯한 다수의 관원과 봉군이 필요하였으며, 이들 봉군의 부역이 지역민들에게 굉장한 부담이 되었으므로 봉수대의 폐지는 오히려 지역민들의 부역을 덜어주는 일로 많은 호응을 받았을 것이다.
 우리 지역의 봉수대를 관리한 인원과 봉수대의 기물에 대한 기록이 현재 남아 있는 것이 없다. 따라서 이들 봉수대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볼 수 없지만 1896년의 「영덕읍지부사례(盈德邑誌附事例)」에 영덕현에는 봉대별장 1인, 봉군 13명이란 기록이 있으며, 「영영승람」에는 봉대별장 2인과 봉군이 200명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영영승람」의 기록은 영덕현의 황석산 봉수대가 폐지되기 전의 규모를 말한 것으로 생각된다.
 「영해읍지부사례」의 영해부에는 대소산 봉수대에 100명, 광산 봉수대에 100명씩 200명의 봉군이 있었다고 하며, 한달에 6번씩 매번 5명이 교대로 수직케 한다는 사실로 미루어 보아 최소한 봉수대의 책임자인 봉대별장 이외에 100여명의 봉군이 수직을 선 것으로 보인다.

2. 역참제

1) 전기의 역참제

 조선시대의 역제(驛制)는 대체로 고려시대의 역제를 그대로 이어받아 시행하여 왔다. 다만 새로운 역참의 개설보다는 기존 역참체제를 잘 정비하여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그 중점을 두었다.
 고려시대나 조선시대는 오늘날과 같이 산업화와 상업화가 고도로 발달된 사회가 아니고 자급자족의 현물경제(現物經濟)를 중심으로 하는 농업사회였다. 따라서 역참제도는 오늘날의 도로와 통신의 역할인 물품의 신속한 배달과 정보의 신속한 전달을 위한 사회간접자본으로써의 역할을 하기보다는 중앙정부와 지방 군현간의 문서의 전달, 관리들의 왕래에 따른 접대, 조세의 운송과 변경(邊境)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군사정보를 신속히 전달하는 교통통신 기관의 하나로 그 역할을 하여 왔다.
  우리 지역의 역참제도는 신라를 거쳐 고려시대에 경주도(慶州道)에 속하였다. 경주도는 경주에서 평해에 이르는 역로와 경주에서 대구에 이르는 역로를 말하며, 도합 23개소의 역으로 구성되었다. 고려시대의 경주도 중 우리 지역과 관련있는 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려시대의 경주도 중의 동해안 지역의 역참〉

        인비(仁比,기계)                                                       금전(琴田,영양)
                 ↑                                                                            ↑

안강-육질(六叱,신광)-송라(청하)-남역-주견(일명 주등酒嶝)-적혈(赤穴)-병곡-아질달(阿叱達,평해)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세조 8년인 서기 1402년에 경상도에 종9품의 역승을 파견한 5개 역승도(驛丞道)와 종6품의 찰방을 파견한 5개의 찰방도(察訪道)를 설치할 때 동해안의 주요 역로인 이 지역을 경상좌도의 송라도(松羅道)에 속하도록 하였다. 송라도에는 종6품의 찰방을 두어 우리 지역의 남역, 주등역, 병곡역 등의 역참을 관할하도록 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전국의 역수(驛數)는 540개소였으며, 이중 경상도에는 151개소가 있었다. 151개소의 경상도 소재 역중에 송라도에 속하는 역수는 우리 지역의 역을 포함하여 도합 13개의 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지역과 관련있는 역은 다음과 같다.

                                     육역(신광)

                                           ↑

봉산(장기)→대송(영일)→망창(흥해)→송라역(남역과 50리)→남역(영덕,현남 20리)→영덕현치(縣治)→주등(영덕,현동 9리)→영해부치(府治)→신기역(新基驛, 부북 5리)→적천역(赤川驛, 부북 8리, 고려말 폐지)→병곡역(부북 20리)

 동해안 지역은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에서 각 군현과 연결시켜 주는 길목에 위치한 관계로 오래 전부터 국가차원에서 중요시되던 교통로가 있었다. 즉 경주-안강-신광-서정리-청하-송라-지경-남역(남정)-오포-영덕을 잇는 교통로가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신라,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 전기에 이르기까지 위의 교통로를 따라 역과 원이 설치되었다.
  따라서 조선시대 전기에 위의 교통로에 설치되었던 우리 지역의 역참(驛站)의 관할 지역과 위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덕현〉

남등역 : 현재 남정면 남정리.
남등역 : 남쪽으로 송라역과 50리 거리이고, 북쪽으로 주등역과는 30리 거리이다.

< 경상도 속찬지리지>

현의 남쪽 21리에 있다. < 신증동국여지승람>
주등역 : 현재 영덕읍 화수리.
남쪽으로 남역과는 30리 거리이고, 북쪽으로 영해 병곡역 30리< 경상도속찬지리지>
현의 동쪽 9리에 있다. < 신증동국여지 승람>

〈영해부〉

병곡역 :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의 달효역과는 49리이고, 남으로 영덕 주등역과는 30리, 서쪽으로 석보부곡의 영양역까지는 50리, 영양역에서 서쪽으로 진보 각산역과는 15리이다. < 경상도속찬지리지>
남등역 : 병곡역은 부의 북쪽 6리에 있다. < 신증동국여지승람>

  역참과 더불어 조선시대에는 관리들과 상인 및 사적인 여행자의 편의를 위하여 원(院)과 관(館)이란 제도를 운영하였다. 원의 설치는 대체로 역로(驛路)를 따라 설치되었으며, 역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원이나 관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역이 설치되지 않은 곳이라도 큰 산 밑이나 큰 고개 마루, 해변의 포구, 하천의 진(津)이나 도(渡)에는 이들 원이나 관을 설치하여 여행인들의 편리를 도모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전국에 1,310개소의 원이 있었다고 하였으며, 그 중에 경상도에 468개소의 원이 있었다고 한다. 대개 30리에 1개소의 원을 설치하고 주민 가운데 신망있는 자를 선발하여 원주(院主)로 임명하여 원의 관리를 맡겼으며, 원위토(院位土)를 지급하여 원의 운영경비를 충당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대개의 원이나 관이 설치된 위치는 읍치(邑治)를 중심으로 동서남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 지역의 원이나 관에 대하여 위의 책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 후기의 역참제

  조선시대 후기에도 전기와 같이 전국 각 지역의 교통로의 변동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우리 지역의 교통로도 전기와 같이 후기에도 그대로 이용되었다. 다만 이들 교통로를 따라 설치되었던 역과 원의 존폐만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많은 변동이 있었다.
  1832년의 「영덕.영해읍지」에 의하여 영덕·영해지역의 역과 원의 변동을 살펴보면, 영덕은 전기의 2역·6원에서 1역·무원(無院)으로 혁파(革罷)된 것으로 나오며, 영해는 1역(영해부 임내(任內)의 영양역(석보 소재)은 제외하였음) 6원에서 1역·2원으로 혁파된 것으로 나온다.
  이와 같이 우리 지역의 역과 원의 폐지에 보듯이 조선시대 후기에 들어와서 전국적으로 많은 역과 원이 폐지되었다. 그 원인으로는 우선 역의 경우에는 역말(驛馬)의 수급이 일차적인 문제였으며, 관둔전(官屯田), 마전(馬田) 등의 토지를 지급하여 역의 운영경비를 조달하였으나, 역정(驛政)의 문란으로 그 폐해가 심하여 역은 점차 쇠퇴일로를 걷게 되었다.
  원의 경우는 국가에서 원의 건물만 지어놓고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건물 자체가 오래지 않아 허물어져서 폐지된 경우가 많았다. 나아가 임란 이후 사회경제적 변동에 의한 상업의 발달로 관영(官營)의 역원보다 사영(私營)의 역참이 발달하게 된 것도 폐역, 폐원의 중요한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여지도서」와 「송라도역지급(及)사례책(1895)」 및 각 읍지를 통하여 영덕·영해지역에 있었던 역의 규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덕현〉

남   역(현의 남40리) : 병방(兵房) 1인, 도장(都長) 1인, 역리·노 1,178명, 역비 109명
〈영남역지〉
병방 1인, 도장 1인, 역리·노 187명, 역노 16명, 역비 12명
〈여지도서〉
병방 1인, 도장 1인, 서자(書者) 1인, 역리·노 1,128명, 역비 101명, 별중마 1필, 중마(移定中馬) 1 필은 대송역에 이정, 복마(卜馬) 5필중 1필은 조정의 명으로 줄임, 마위답(馬位畓) 206두 4도락지(刀落只), 전 133두 4도락지, 복호(復戶) 120결 63부, 입마답(立馬畓) 3석 13도락지 〈송라도역지급사례〉
대마 1필, 중등마 2필, 복마 8필, 역리 187구, 노 16 구, 비 12구
〈영영승람〉

주등역(현의 동10리) : 병방 1인, 도장 1인, 역리·노 549명, 역비81명, 〈영남역지〉
병방 1인, 도장 1인, 역리·노 89명, 역노 76명, 역비 95명
〈여지도서〉
병방 1인 도장 1인, 역리·노 329명, 역비 51명, 중마 1필, 중마 1필은 신광육역에 이정, 복마 5필중 1필은 조정의 명으로 줄임, 마위답 121도락지, 전 110도락 지, 복호 14결 68부, 입마답 2석 11두 9도락지 〈송라도역지급사례〉
남등역(현의 남40리) : 중등마 2필, 복마 8필, 역리 89구, 노 76구, 비 59구
〈영영승람〉

〈영해부〉

병곡역(부의 북20리) : 병방 1인, 도장 1인, 역리·노 968명, 역비 338명 〈영남역지〉
남등역(현의 남40리) : 병방 1인, 도장 1인, 역리·노 11명, 역노 16명, 역비 5명
〈여지도서〉
병방 1인,도장 1인,역리·노 253명, 역비 123명,상 등마 1필,중등마 1필,복마 3필중 1필은 조정의 명 으로 줄임,마위답 131두 2도락지,전 550도락지,복 호 26결 56부 8속,입마답 2석 13두 2도락지
〈송라도역지급사례〉

「영영승람」에는 병곡역의 규모에 대한 기록이 없으며, 다만 1981년 발간의 「영덕군지」에는 중등마 5필, 복마(짐을 운반하는 말) 7필이라 기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