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를 못 낳는 부인이나 딸만 계속 낳고 아들을 못 낳는 부인은 자식을 얻기 위해서 기원(祈願)하는데, 대체적으로 두가지 유형(類型)이 있다. 하나는 일정한 대상물(對象物)을 정한 다음 그곳에 가서 치성을 드리는 치성기자(致誠祈子)가 있고 다른 하나는 특정한 사물(事物)을 몸에 지니거나 특별한 음식을 먹어 이들의 주술성에 의하여 임신한다는 주술기자(呪術祈子)가 있다.
치성기자는 산이나 절 또는 무녀(巫女)에게 가서 비는 것과 집안에서 비는 것이 있다. 영덕에서는 산 자체에 비는 것 보다 산에 있는 큰 바위에 치성을 드리는 경우가 있으며 절에 가서 치성을 드리는 경우는 백일기도 등은 하지 않고 수시로 가서 불공(佛功)을 드리고, 또 용하다는 무녀(巫女)를 찾아가서 치성을 드리기도 한다. 집안에서는 은밀한 곳에 칠성단(七星壇)을 쌓거나 돌을 놓고 치성을 드리기도 한다.
바위에 치성을 드리는 경우는 일관(日官)에게 날을 받은 뒤부터 부정(不淨)한 것도 보지않고 외출도 삼가는 등 집에서 일주일 정도 정성을 드린 다음, 정한 날이 되면 새벽에 바위에 가서 금줄을 쳐 놓고 집으로 돌아와서 백찜(백설기), 삼색과실 그리고 나물 등 제수(祭需)를 마련하여 아무도 보지 않을 때 바위에 가서 제물를 차려놓고 정화수를 한그릇 떠놓고 촛불을 켜고 정성을 드린 다음, 남이 보지 않게 집으로 돌아온다. 제수에서 고기는 사용하
지 않는다.
칠성에 비는 것은 집안사람들이 잘 안가는 깨끗한 곳에 돌을 놓고 그 위에 정화수 한 그릇을 놓고 치성을 드린다. 이 때 목욕하고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고 집안사람들이 모두 잠들어 조용할 때 칠성님께 비는데, 7일마다 정화수를 새로 떠놓고 빈다.
2. 임신부(姙娠婦) 임신을 하면 임신부는 태아(胎兒)를 보호하고 훌륭한 아기를 낳기 위하여 애를 쓴다. 특히 음식을 조심하는데, 임신부와 태아를 이롭게 하는 음식을 먹으며 임신부에게 해가 된다는 특정한 음식은 삼가며 몸가짐도 조심한다. |
3. 출산(出産) 농촌에서는 대부분 집에서 아이를 분만(分娩)한다. 출산에 대한 준비와 산실(産室)등에서도 세심한 관심을 기울인다. 즉, 산기(産氣)가 있으면 “애튼다” 또는 “애기 튼다” 라고 하며 해산일(解産日)이 가까워 오면 기저귀와 포대기, 그리고 아기옷을 장만한다. 초산(初産)일 경우는 대개 친정(親庭)에 가서 낳는 사람이 많다. 그것은 시어머니에게 폐도 되고 또 산부(産婦)의 마음도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