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절 제1공화국시대
제1공화국은 미군정이 1948년 8월 15일 종료되기 직전인 1948년 5월 10일 남한 단독선거에 의하여 선출된 제헌의원들에 의하여 각종 법령과 제도가 정비된 후 1948년 8월 15일에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하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부터 1960년 3월 15일 부정선거로 야기된 4·19혁명에 의하여 이승만 정부가 무너질 때까지 12년여 동안 대한민국의 모든 것을 지배한 정체(政體)를 말한다. 미군정 당국은 한반도에서 그들의 군정을 종식시키면서 한국의 통치구조를 서구식 민주주의에 의한 것으로 결정하고 국가의 통치중심을 일제 식민통치전의 국왕 중심체제에서 대통령 중심제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대통령의 선출은 국회를 통한 간선으로 선출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1948년 5월 10일 남한만의 단독선거를 실시하여 제헌의원을 선출하고 제헌의원으로 제헌의회를 구성하여 국회에서 선거에 당선된 제헌의원들이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을 선출하도록 하였는데, 여기서 초대 대통령으로 이승만이 당선되었다. 이렇게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이승만은 건국의 기초를 닦는 한편, 북한의 남침으로 야기된 6.25한국전쟁을 슬기롭게 극복하는 등 많은 일들을 하면서 초대 대통령으로 훌륭하게 그 직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승만은 자기의 집권세력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자유당을 창당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집권연장을 획책하여 권좌를 유지하여 오다가 1960년의 3.15부정선거로 촉발된 4.19 혁명으로 결국 권좌에서 쫓겨나게 되어 하와이로 망명하여 그곳에서 생을 마감하게 되었다. 한편 우리 지역의 1948년 5월 10일 제헌의원 선출선거에는 당시 영덕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영덕군회장으로 있던 오택열(吳宅烈)후보가 선출되었다. 오택열 당선자는 제헌의원선거에 막강한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배경을 업고 영덕군 선거구에서 단독으로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이 되어 영덕군의 제1대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렇게 선출된 오택열 제헌의원은 불행히도 1950년에 발발한 6.25한국전쟁 도중에 납북되어 그의 경륜을 펼쳐보일 수 없었다. 제1공화국시대 12년 동안에는 여러 번의 선거가 있었다. 특히 건국의 기초를 닦을 초대 대통령 선거를 포함하여 4번의 대통령 선거와 1·2대를 포함한 5번의 부통령 선거가 있었으며, 제헌의원의 선출을 포함한 4번의 국회의원 선거와 2번의 도의원 선거, 그리고 1번의 면장 선거가 있었다. 이렇게 제1공화국시대에 실시된 각종 선거에서 우리 지역과 관련된 각종 선거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만 초대 대통령과 초대 부통령, 그리고 2대 부통령은 국회에서 간접투표에 의하여 선출되었으므로 지역민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았다.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6명의 후보자가 출마하여 서로 큰 인물임을 내세웠으나 자유당 소속의 김원규후보가 당선되었다. 다시 4년 뒤인 제4대 국회의원 선거는 1958년 5월 2일 치루어졌으나 본 군에서는 자유당 후보인 김원규후보와 2대와 3대를 연이어 출마한 무소속의 김영수후보가 출마하여 접전을 벌이는 듯 하였으나 무소속의 김영수 후보가 선거관리 담당부서에 의하여 등록무효로 결정됨에 따라 자유당의 김원규후보가 자동으로 무투표 당선이 되어 제4대 지역구 국회의원이 되었다.
|